백두대간28 여원재 옛길, 철조망 유감 [여원재. 백두대간마루금과 이순신장군 백의종군로가 교차로 지나간다. 고갯마루 곳곳에 이곳의 역사적 의미를 알리는 설치물 들이 들어서 있다.] 여원재 옛길, 철조망 유감 남원시 이백면과 운봉읍 사이에는 백두대간 고개 ‘여원재’가 있다. 고개를 의미하는 한자어 ‘치(峙)‘를 사.. 2018. 12. 13. 함양군, 구제역 확산 위해 지리산 둘레길 등 등산로 폐쇄 [2010년 10월 등구재에서] 함양군, 구제역 예방 위해 지리산 둘레길, 백두대간 등산로 등 잠정 폐쇄 함양군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등산로 22개 구간 247㎞를 폐쇄한다고 합니다. 이는 사람 간의 접촉으로 감염되는 구제역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한 조처로 다른 지역에서 함양을 찾는 등산객의 이동을 .. 2011. 1. 20. 산꾼들이 발로 엮은 20년, 백두대간은 족보를 얻었다 산꾼들이 발로 엮은 20년, 백두대간은 ‘족보’를 얻었다‘ 1대간 9정맥 1000명산 지도첩’ 발간배두일 기자 excelsio@joongang.co.kr | 제139호 | 20091108 입력 [‘1대간 9정맥 1000명산’ 지도첩(사진 위). 이승태(왼쪽) 팀장과 명산 지도첩 팀원들이 ‘사람과 산’ 본사에서 제작회의를 하고 있다. 신동연 기자] 이 .. 2009. 11. 10. 백두대간 내려잇기 18구간(하늘재-이화령) [탄항산 오름길에 만난 야곱의 사다리] 07년 11월 11일 일요일 아침, 경북 상주에 귀농해 있는 친구의 도움을 받아 하늘재에 도착, 산행을 시작하다. 탄항산 오름길, 범상치 않은 느낌의 바위를 지나 되돌아 보는데, 하늘에서는 야곱의 사다리가 드리워져 있다. 이 바위는 '미륵바위'라고 불러도 전혀 손.. 2008. 5. 30. 은방울꽃과의 만남, 백두대간에서 지난 주말(2008.5.24일), 경북 상주의 갈령(상주 화북면과 화남면의 경계를 이루는 49번 지방도 상의 고개)에서 속리산 남쪽 줄기인 형제봉 쪽 갈령 3거리에 올라, '백두대간 내려잇기 23구간 (갈령 3거리~신의터재)'을 운행할 때였다. 나무에 누군가가 걸어놓은 못제 갈림길 이정표를 지나 완만한 오름길을 .. 2008. 5. 30. 백두대간(버리미기재~늘재)에서 만난 꽃들 지난 사월초파일 연휴(5월 11~12일) 이틀간 백두대간 내려잇기 -버리미기재-대야산-조항산-청화산-늘재, -늘재-밤재-속리산 문장대-천황봉-형제봉-갈령, 두 구간을 운행하며 만났던 꽃들을 소개합니다. 첫 날, 남녘의 산자락에서는 잘 만날 수 없는 당개지치와 회리바람꽃을 만나 참으로 반가웠으나, 홀.. 2008. 5. 20. 생명의 소리, 백두대간 풍경 지난 11월 11일, 백두대간 하늘재-이화령 구간을 운행할 때 만난 생명의 모습들이다. * * * * * * * ◈쑥부쟁이 하늘재에서 마역봉을 거쳐 조령3관문까지 이르는 길은 그런대로 평탄하게 잘 나있지만, 조령 3관문에서 가파르게 깃대봉 갈림길을 오르고 나면, 이제 바야흐로 암릉으로 이름 난, 소위 '신선암.. 2007. 11. 30. [백두대간]미륵바위와 야곱의 사다리 [백두대간 하늘재에서 조령산 방향 탄탕산 가는 기레 만난 바위. 내가 미륵바위라 이름 붙였다] [두터운 먹장 구름 사이로 한줄기 빛이 쏟아져 나왔다] 경북 문경과 충북 충주 사이에 있는 백두대간 상의 고개인 하늘재에서 조령산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탄항산을 향해 오르던 중, 산길 한 켠에 마치 일.. 2007. 11. 26. 하늘재 편지-미륵리 가는 길② [미륵리 중원 미륵대원터] ◈하늘재 편지-미륵리 가는 길② 거대한 바위지대가 뒤를 두르고 있기 때문일까요? 네댓 명의 산꾼들이 둘러앉아 두런거리는 소리는 9월 중순으로 접어드는 초가을 밤 하늘재 고갯마루를 웅웅 울리며 어둠의 하늘에 부서집니다. 문득 그믐을 얼마 남겨놓지 않은 밤하늘의 별.. 2007. 11. 20. 강원 평창 도암댐 물 남한강 방류or남대천 발전방류?? <평창 도암댐 물 남한강 방류 결정> (춘천=연합뉴스) 임보연 기자 = 강원도는 평창군에 위치한 도암댐의 오염물질 준설을 위해 물을 남한강으로 방류키로 했다고 7일 밝혔다. 강원도에 따르면 이날 도와 산업자원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관계자가 참여하는 제3차 고위급 태스크포스(T/F) 회의.. 2007. 11. 8. 그리운 이여 오라, 지리산 만복대 [만복대에서 주능선 노고단 방향을 바라보며] ◈ 지리산 답사모임 '지리산 산길따라(daum 카페)'에서는 지난 주말 (11.3~4) 지리산 서북능선의 주봉이라 할 수 있는 만복대를 다녀왔다. 만복대는 전북 남원군 산내면과 주천면, 전남 구례군이 경계를 이루는 봉우리로, 능선 북쪽의 정령치를 넘어 고리봉에.. 2007. 11. 7. 하늘재 편지-미륵리 가는 길① [미륵사지터 전경. 석불입상 등 유믈] ◈하늘재 편지-미륵리 가는 길① 00님, 이제 아침저녁으로 선선한 바람이 불어오는 완연한 가을입니다. 올해 그 무더웠던 여름 잘 이겨내셨는지요? 때때로 사람들은 넘치거나 모자란다며 하늘을 보고 볼멘소리를 해대지만, 자연의 흐름은 이렇듯 반듯하고 어김없.. 2007. 10. 2. 백두대간 내려잇기 17구간(작은차갓재-하늘재) [차갓재] ◈백두대간 내려잇기 제17구간(작은차갓재-하늘재) ◎산행후기 금요일(9.7일) 자정 무렵 부산을 출발하여 야영장소로 마음에 두었던 문경의 여우목고개에 도착한 때는 03시20분, 이미 신새벽이 가까이 다가와 있는 시각이었다. 한여름 무더위가 지나간 인적 없는 고갯마루에는 선선한 바람과 .. 2007. 9. 18. 풍경과의 만남-소백산천문대 [소백산천문대와 낙조] 지난 해 늦가을(11월), 백두대간 마루금 내려잇기 소백산 구간(마구령-죽령)을 답사할 때의 일이다. 소백산 主峰인 비로봉을 지나, 힘들게 연화봉으로 진행하며 마지막 남은 힘을 모아 봉우리를 향해 올라서던 때였다. 날이 서서히 저물면서 서쪽 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낙조, 그.. 2007. 6. 18. 백두대간 내려잇기 14구간(마구령-죽령)-① [마구령 이정표] 백두대간 내려잇기 14구간(마구령-죽령)을 다녀온 지 이미 두 달이 다 되어가고 있건만 기록 정리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기록에 대한 부담도 부담이거니와 최근 치른 두 차례의 시험과 몇몇 일들에 정신을 쏟다 보니 그리 되어 버렸다. 지난 늦여름, 종일 비를 맞으며 운행한 13구간에.. 2007. 1. 4. [백두대간 고개]죽령 ▣소백산 죽령 옛길 영남 지방과 기호 지방을 연결하는 죽령 옛길의 연혁은 분명하다 . 삼국사기에 따르면 경북 영주시 풍기읍과 충북 단양군 대강면 을 넘는 해발 689m의 죽령길이 처음 열린 때는 신라 아달라 이사 금 5년. 서기로 치자면 158년의 일이다. 셈해 보자면 지금으로부 터 1848년 전이니 아득.. 2006. 11. 10. [백두대간 고개]마구령과 고치령 ■백두대간의 고개 : 마구령, 고치령 위 치 : 경북 영주시 부석면 남대리~임곡리, 단산면 좌석리~마락리~충북 홈페이지 : http://www.npa.or.kr/sobaek 소백산국립공원 http://tour.yeongju.go.kr/ 영주시청 문화관광 개 요 : 남진하던 백두대간이 태백산을 지나 서쪽으로 방향을 틀면서 국토의 중앙부에 소백산이라는 .. 2006. 11. 10. 백두대간 내려잇기 13구간(도래기재-마구령) [비내리는 박달령 산령각 앞에서] ▣백두대간 내려잇기 13구간 1. 서벽을 들어서며 토요일(8.19일) 저녁, 영주시 단산면 옥대리의 면사무소 주차장에서 넷산의 백두대간 내려잇기 본대를 만나, 경북 영주 부석면-봉화 물야면-춘양면 서벽을 잇는 좁은 지방도로 방향을 잡는다. 물야면의 오전약수를 지나 .. 2006. 9. 11. [마루금]백두대간 내려잇기 13구간 ▣백두대간 내려잇기 13구간 산행계획표 (넷산팀과 함께) 1. 산행지 : 태백산(도래기재-고치령/24.1km) 2. 위 치 : 강원도 영월군 / 경상북도 봉화군 3. 산행일 : 2006.8.19(토)-20(일) 4. 산행종류 : 비박과 마룻금이어걷기 5. 모이는곳 : 도곡역 양재천가 15:50 6. 교통 : 전세차량 7. 참가비 : 40,000원(추가비용 1/n) 8. .. 2006. 8. 17. 백두대간 내려잇기 12구간(화방재-도래기재) ▣백두대간 내려잇기 12구간(화방재-도래기재) 이번 구간 들머리인 화방재로의 접근과 날머리인 도래기재에서의 귀가를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로 하고 계획을 촘촘히 세웠다(붙임). 하지만, 토요일 아침 열차편으로 해운대를 출발하여 경북 봉화군 춘양으로 향하려 했던 당초의 계획은(버스로 춘양→태.. 2006. 7. 6. 금강애기나리(덕항산, 강원 삼척) 2006년 5월 20일 강원 삼척 덕항산(백두대간) 구간에서 금강애기나리 2006. 5. 3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