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20 비뚜로 보는 문화재<64>불상없는 불전 정암사 적멸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65·끝) 불상없는 불전 정암사 적멸궁 국내 창안 전각… 中·日엔 없어 강원도 정선 사북에서 만항재를 넘어 영월 상동으로 가는 길은 별빛이 가장 아름다운 드라이브코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해발 1330m의 만항재는 포장도로가 놓인 고갯길로.. 2008. 4. 24. 비뚜로 보는 문화재<63>계유명 전씨 아미타불 삼존석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64)계유명 전씨 아미타불 삼존석상 패망 백제인, 돌에 새긴 불굴의 美 1960년, 백제의 옛 땅인 충남 연기 출신의 동국대 학생 이재옥씨는 고향의 작은 절에서 부처님이 새겨진 돌을 탁본하여 불교미술을 강의하던 황수영 교수에게 리포트로 제출했습니다. 당시.. 2008. 4. 17. 비뚜로 보는 문화재<62>현존 最古 거문고 '탁영금'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63)현존 最古 거문고 ‘탁영금’ 거문고는 친숙한 악기처럼 느껴지지만, 실제로 거문고 음악과 가까워지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누군가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연주하는 악기라기보다는, 스스로 성정을 다스리는 데 도움을 주는 선비의 분신(分身)이었다는 이.. 2008. 4. 10.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현묘탑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62) 원주 법천사 지광국사현묘탑 남한강 뱃길로 전해진 ‘페르시아風’ 부도 경기도 여주에서 남한강을 거슬러 올라가자면 고려시대에 위세를 떨쳤던 대찰(大刹)의 옛터가 줄줄이 나타납니다. 절집은 흔적도 찾을 수 없는 폐사지들이지만, 하나같이 국보며 .. 2008. 4. 3. 비뚜로 보는 문화재<57>겸재 정선의 '우천'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57) 겸재 정선의 ‘우천’ 겸재 정선(1676∼1759년)은 65세 되던 영조 15년(1740년) 양천현령에 임명되었습니다. 양천현은 서울 강서구와 양천구 일대로, 지금은 아파트가 가득 들어찬 가양지구 한 복판에 현아(縣衙)가 있었지요. 양천은 도성이 강 건너로 멀지 않은.. 2008. 3. 5. 비뚜로 보는 문화재<56>조찬소,조선중기 잔칫집 풍경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선묘조제재경수연도’중 조찬소 조선 중기 잔칫집 부엌 풍경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거(李·1532∼1608)는 지금의 서울시 부시장 격인 한성우윤으로 있던 선조 37년(1604년) 11월12일 72세의 나이로 형조참판에 발탁됩니다. 그러나 사관(史官)은 이 인사가 마뜩지 .. 2008. 2. 21. 문화재<53>영천 거조암 오백나한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53) 경북 영천 거조암 오백나한 자유분방한 표정… 순수한국식 불교 조각 은해사 거조암은 경북 영천의 청통면 사무소가 있는 네거리에서 서북쪽으로 난 찻길을 따라 팔공산 자락으로 올라가면 나타납니다. 이름에서는 깊은 산중의 작은 암자 같은 느낌이 물.. 2008. 1. 24. 비뚜로 보는 문화재<49>햇골산 마애불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9)햇골산 마애불 출생의 비밀 간직한 ‘千의 얼굴’ 중원문화권은 충주를 중심으로 한 충청북도 일대를 가리키지요. 한반도 중심부의 내륙인 이 지역은 소백산맥을 중심으로 고구려·신라·백제가 각축을 벌인 전략적 요충지였습니다. 중원문화권에는 당연.. 2007. 12. 20. 문화재<47>김득신의 '밀희투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7)김득신의 ‘밀희투전’ 돈이 인격 좌우해가는 시대상 ‘생생’ 조선 후기의 3대 풍속화가라면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긍재 김득신을 꼽습니다. 모두 국가기관인 도화서(圖畵署) 출신이었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지요. 도화서 화원들은 국가에서 녹봉.. 2007. 12. 6. 비뚜로 보는 문화재<45>망자의 길동무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5) 내세관 상징하는 망자의 길동무 사람은 영혼과 육신을 뜻하는 혼백(魂魄)으로 되어 있어, 죽으면 육신은 땅에 묻히고 영혼은 저승에서 심판을 받는다고 했습니다. 염라대왕의 명으로 달려온 저승사자는 쇠몽둥이로 등을 치고, 쇠사슬로 얽어매어 사람의 .. 2007. 11. 23. 비뚜로 보는 문화재<45>망자의 길동무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5) 내세관 상징하는 망자의 길동무 사람은 영혼과 육신을 뜻하는 혼백(魂魄)으로 되어 있어, 죽으면 육신은 땅에 묻히고 영혼은 저승에서 심판을 받는다고 했습니다. 염라대왕의 명으로 달려온 저승사자는 쇠몽둥이로 등을 치고, 쇠사슬로 얽어매어 사람의 .. 2007. 11. 22. 비뚜로 보는 문화재<29>고려 태조 왕건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29) 고려 태조 왕건상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평양에서 온 국보들’ 특별전의 뉴스메이커는 단연 ‘고려 태조 왕건상’이었습니다. 우리 역사를 통틀어 왕의 ‘초상조각’이라는 것 자체가 생소한데다, 옷을 입지 않은 나상(裸像)이어서 더욱 화.. 2007. 8. 2. 문화재 이야기<27>풍기읍의 용두 당간머리장식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27) 경북 풍기읍 용두 당간머리장식 하늘 모시는 샤머니즘의 변형 ‘당간’ ▲ 보물 제1410호 경북 영주시 풍기읍 출토 금동 용머리 모양 당간 장식(위 사진). 리움미술관이 소장한 국보 제136호 고려시대 금동용두보당(金銅龍頭寶幢·높이 73.8㎝)처럼 내부에 달.. 2007. 7. 19. 문화재 이야기<26>양산 통도사 괘불탱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26) 양산 통도사 괘불탱 “전란후 민심수습”… 최고 15m 규모로 제작 ▲ 국립중앙박물관에 전시된 경남 양산 통도사 괘불탱(1767년,12.04×4.93m). 김명국기자 daunso@seoul.co.kr 우리 문화에서 ‘스케일’이 아쉬웠다면 괘불탱(掛佛幀)은 충분히 위안을 주고도 남습니.. 2007. 7. 12. 문화재 이야기<25>성공회 강화성당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25) 성공회 강화성당 한국성공회의 초대 주교인 찰스 존 코프는 1890년 제물포에 상륙하자 곧바로 진료소를 열었습니다. 이듬해에는 한옥으로 병원 건물을 새로 지었는데 병실도 온돌방이었다고 하지요. 새로운 병원은 성누가병원이라고 명명됐습니다. 하지만.. 2007. 7. 5. 문화재 이야기(23)양평 출토 '금동여래입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23)‘양평 출토 금동여래입상’ 오스트리아 사람으로 영국에서 활동한 에른스트 곰브리치(1909∼2001년)라는 미술사학자가 있습니다. 그가 쓴 ‘서양 미술사(The Story of Art)’는 우리나라에서도 미술학도는 물론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필독서가 된 지 .. 2007. 6. 21. 문화재 이야기<19>이차돈 순교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19) 이차돈순교비 신라는 국사시간에 배운 대로, 법흥왕 14년(527년) 이차돈(異次頓)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했습니다. ▲ 이차돈 순교비. 처형 장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에는 각각 7개의 세로줄에 25글자씩을 새겨넣었다. 위쪽에 원형의 자루가 남아있어 당.. 2007. 5. 27. 문화재 이야기(9)조선백자 기름받이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9) 조선백자 기름받이 TV 드라마를 보면, 조선시대 국왕이 술을 마시는 장면에서 종종 고려청자가 등장합니다. 조선시대라도 국왕이라면 귀한 청자 술병과 술잔쯤은 쓰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나 봅니다. 조선왕조로서는 고려청자가 이어받아야 할 유산이.. 2007. 5. 16. 문화재 이야기(7)반가사유상과 모딜리아니 비뚜로 보는 문화재<7>반가사유상과 모딜리아니 조회(10) / 추천 http://blog.joins.com/choys56/7989829 등록일 : 2007-05-13 07:52:34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7) 반가사유상과 모딜리아니 삼국시대 조각상 빼닮은 서양화 반가사유상은 깨달음에 이르기 전의 싯다르타 태자가 모델입니다. 의자에 .. 2007. 5. 14. 문화재 이야기<1>은진미륵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1) 은진미륵의 발가락 미술사학자들 “촌스럽다”해도 조각가 장난기엔 미소가 절로 흔히 은진미륵이라고 불리는 충남 논산의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은 우리나라 불교조각 가운데 촌스럽기로 첫손가락에 꼽힙니다. 미술사학자들은 이 고려 초기 대작(大.. 2007. 5.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