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사30 조용섭의 지리산이야기(06)구형왕릉 가는 길 봄, 여름을 지나는 사이, 어느듯 저의 지리산이야기도 남원, 함양을 지나 산청으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번 호 '조용섭의 지리산 이야기'는 경남 산청에 있는 구형왕릉을 찾았습니다. '인문학으로 걷는 지리산'의 주제에서 중요한 장소성을 지닌 곳이라 하겠습니다. 조용섭의 지리산이야기 .. 2017. 11. 4. '철의 왕국 가야' 입증 제련시설 발굴 ‘철의 왕국 가야’ 입증 제련시설 발굴 진영읍 하계리 농공단지 부지서 제련로·배소시설 등 확인 [경남신문] 가야가 철의 왕국임을 입증하는 제련시설이 발굴됐다. 김해시와 (재)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은 진영읍 하계리 농공단지 부지에서 4세기 가야시대 주거지 16곳, 광석을 용광로에 녹여 함유된 .. 2009. 11. 25. 수로왕릉 발자취 [동서남북] 수로왕릉 발자취- 김상우(사회부 부장) [경남신문/09/09/07] 수로왕릉은 가야를 창건한 수로왕을 모신 사적지이다. 수로왕은 한국의 최다 성씨인 김해김씨 시조이다. 수로왕릉은 1963년 이 일대 5만63㎡를 사적 제73호로 지정해 가야시대 중요 문화재로 관리해 오고 있다. 수로왕릉은 국가 사적.. 2009. 10. 24. 가야사 2단계 복원사업 추진 가야사 2단계 복원사업 본격 추진 김해시, 예산 133억 확보·학교이전 등 해결 가야사 2단계 복원사업이 그동안 걸림돌이었던 사업비 확보와 사업지구 내 학교 이전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 본격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김해시는 대성동 일대 가야유적지 8만804㎡에 대해 560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가야 유적.. 2008. 11. 5. 도심 속에 흐르는 역사, 김수로왕릉 도심 속에 흐르는 역사, 김수로왕릉 남근희 기자 왕릉이란 임금의 무덤을 말한다. 공묘 산원이라고도 불리는 왕릉은 그 시대 왕의 업적과 영향력에 따라 크기와 모양 또한 각양각색이다. 혹자에게 왕릉을 묻는다면 경주가 우선 떠오를지 모른다. 이번에 찾은 여행지는 신라시대 왕들의 거대하.. 2008. 5. 8. '제4의 제국 가야' 따라보기 ◈제 4의 제국 가야/기획 의도 “1500년 전의 글로벌리즘” “《삼국사기》라는 자폐증(自閉症)에서 벗어나라” “이제는 삼국시대(三國時代)가 아닌 사국시대(四國時代)” “가야는 비밀의 왕국, 일본의 문을 열 수 있는 빗장이자 열쇠” ▶ 1500년 전의 글로벌리즘 삼국사기에 기초한 삼국 중심의 해.. 2008. 3. 14. 가야가 살아온다<15>예안리 사람들 가야가 살아온다 <15> 제3부 가야인의 삶 ④예안리 사람들 [국제신문] #1천6백년전 삶의 편린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에는 가야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더듬어볼 수 있는 유적이 있다. 사적 261호 예안리 고분군이다. 부산→김해 14번 국도를 따라가다 김해 선암다리를 건너 우회전해 서낙동강을 .. 2008. 2. 15. 가야가 살아온다<20>가야불교 가야사 16. 제3부 가야인의 삶 ⑤가야불교 --------[국제신문/2003년/1월10일] #즐비한 ‘가락고찰’ 김해시 동북쪽의 신어산(630m) 중턱에는 은하사(銀河寺)란 유서깊은 절이 있다. 김해시 어방동 인제대 앞을 지나 가야랜드에 닿기 전에 우회전, 산쪽으로 2.2㎞ 들어가면 병풍같은 바위산을 배경으로 고즈넉.. 2007. 11. 9. 가야가 살아온다<19>예안리 사람들 가야가 살아온다 <15> 제3부 가야인의 삶 ④예안리 사람들 [국제신문] #1천6백년전 삶의 편린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에는 가야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더듬어볼 수 있는 유적이 있다. 사적 261호 예안리 고분군이다. 부산→김해 14번 국도를 따라가다 김해 선암다리를 건너 우회전해 서낙동강을 .. 2007. 11. 8. 가야가 살아온다<18>가야 연맹체설은? 가야가 살아온다 '가야 연맹체설은' [국제신문] 미니/가야 연맹체설 무엇이 문제 --------------- 가야사 연구에서 연맹체설(聯盟體說)은 가야의 정치체제와 사회성격 등을 규정짓는 핵심 쟁점이다. 미완의 가야사를 규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할 난제이기도 하다. 그런만큼 이와 관련.. 2007. 11. 6. 잃어버린 가야 역사 傳구형왕릉을 찾아서 ◈읽어버린 伽倻 역사, ‘傳 구형왕릉’을 찾아서 -사적 214호.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1. 전설의 왕릉, 구형왕릉 지리산 천왕봉 북동쪽, 지리산 동부 산자락을 멋지게 바라볼 수 있는 곳이 있으니 그곳은 바로 王의 山, 王山이다. 지리산 주능선도 아닌, 지능선의 고도 923m 봉우리가 이 웅장한 산줄.. 2007. 10. 19. 가야가 살아온다<17>가야사의 기점 연구'는 가야가 살아온다 '가야사의 기점 연구는' [국제신문] 가야로 통칭되는 정치세력의 소멸시기는 서기 562년이다. 이 연대가 가야사의 하한선이라는데엔 별 이견이 없다. 그러나 가야사의 기점은 다양한 설이 제기돼 있다. 크게는 김해 구야국을 포함한 변한(弁韓) 사회의 시작을 가야사의 시작으로 보.. 2007. 4. 13. 가야가 살아온다<16>가야인의 시간의식과 연중행사 가야가 살아온다 <14> 제3부 가야인의 삶 ③시간의식과 연중행사 [국제신문] 가야가 살아온다14. / 가야인의 삶/ ③시간의식과 연중행사 ------------- 가야사 연구는 1980년대 이후 눈부신 진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의 대부분은 가야의 전쟁과 외교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사나 국제관계.. 2007. 3. 28. 역사 속의 지리산<7>서부 경남의 가야문화 고성 송학동 1호분, 고성과 가까운 사천 선진리 고분, 거제 장목고분 등에서 왜계 양식이 잇따라 발견됐다. 금관가야와 대가야의 명성 속에 파묻혀 있는 고성을 중심으로 하는 서부경남의 소가야. 5~6세기 그 곳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 김해 대성동 고분군의 왜계 유물 돌 화살촉. 5.. 2007. 2. 28. 가야가 살아온다<15>日최초 왕국의 첫 여왕은 가야 공주? 가야가 살아온다 <11>'日최초 왕국의 첫 여왕 가야 묘견공주'說 논란 [국제신문/2002년/11월] 한·일 두나라의 고대 사학계를 들여다 보면 ‘이상한 현상’을 발견한다. 일본측 역사학자 십중팔구는 그들이 고대한국을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지지 또는 동조하는데 반해, 한국에서는 백제 또.. 2007. 2. 27. 가야가 살아온다<14>기마민족설 그 후... 가야가 살아온다<11> 제2부 비빌의문 (5)기마민족설 그 후 [국제신문/02년/11월] 지난 11일 일본에서 날아든 부음 하나는 한·일 고대사 연구의 폭풍과도 같은 한 페이지를 들추어보게 했다. '기마민족설 주창, 에가미 나미오씨, 96세 일기 마감'. 에가미는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8년 기마민족설을 제기.. 2007. 2. 23. 가야가 살아온다<13>임나일본부의 실체 가야가 살아온다 <10> 제2부 비밀의 문 ④임나일본부 [국제신문/02년 11월] 가야사 <10> 제2부 비밀의 문 ④임나일본부에 가린 ‘임나’ 고대 한·일관계사를 전공한 양국 고고학자들은 여러모로 닮은 점이 많다. 학자된 입장에서 싫든 좋든 상대국 문화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다 보니 서로 동화.. 2007. 2. 19. 가야가 살아온다<12>가야의 실체 가야가 살아온다 <9> 제2부 비밀의 문 ③6가야의 실체 [국제신문/02년 /11월] 김해시 구산동 구지봉 정상의 천강육란석조상. 김해시는 이를 곧 철거, 구지봉의 원형을 회복토록 할 계획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나오는 수로왕 신화에는, 김해 구지봉에 9간이 모인 상태에서 하늘에서 여섯 개의 황.. 2007. 2. 12. 가야가 살아온다<11>허왕후를 찾아서 가야가 살아온다 <8> 제2부 비밀의 문 ②허왕후를 찾아서 [국제신문/02년/11월] #어디서 왔을까 신비에 싸인 가야사를 더욱 신비롭게 만드는 것 중 하나가 김수로왕의 부인 허왕후의 출신지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허왕후의 입을 빌려 ‘저는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서 성은 허(許)요,.. 2007. 2. 11. 가야가 살아온다<10>구지봉과 개국 가야가 살아온다 <7> 제2부 비밀의 문 ①구지봉과 개국 [국제신문] 2부/비밀의 문(7) 1. 구지봉과 개국 #가락국의 랜드마크 김해 분산(盆山·330m). 김해시가지 뒤편에 오뚝 솟은 이 산은 앉음새가 예사롭지 않다. 지리산에서 동남쪽으로 굽이쳐 달려온 낙남정맥의 끝지점인데다, 낙동강 하구와 남해를.. 2007. 2. 10. 가야가 살아온다<9>구형왕릉의 수수께끼 가야가 살아온다 <6> 구형왕릉의 수수께끼[국제신문] /구형왕릉의 수수께끼 --------------------- “나라를 보전하지 못한 몸이 어찌 흙속에 묻히랴. 차라리 돌속에 들어가서라도 가야 백성을 지키겠노라….” 금관가야의 구형왕이 죽음을 앞두고 별궁이 있었다고 전하는 지리산 자락 수정궁(水晶宮)에.. 2007. 2. 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