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리산 산길따라/지리산♧[역사]59

지리산 神仙으로 그려진 고운 최치원 '지리산 神仙'으로 그려진 고운 최치원 국립진주박물관, '고운선생 영정'에서 동자승 발견 강동욱 기자/경남일보  국립 진주박물관(관장 강대규)은 한국 박물관 개관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기획특별전 ‘민족의 영산, 지리산’을 열고 있는 가운데, 경남 시도유형문화재 제187호인 ‘운암영당 고.. 2009. 11. 12.
거문고 중흥지 '지리산 운상원' 거문고 중흥지 雲上院 이수기 (논설고문)/경남일보 하동군 화개면 범왕리 1605번지 지리산 반야봉 남쪽 해발 800m의 칠불사(七佛寺) 위의 운상원(雲上院:운상선원:雲上禪院)은 거문고의 중흥지(中興地)다. 칠불사는 서기 97년 가야(伽倻) 수로왕(首露王)의 7왕자가 외삼촌인 장유화상(長有和尙:보옥대사:.. 2009. 1. 24.
함양 군자사/이덕무 *청장관전서 제69권 *한죽당섭필 하(寒竹堂涉筆下) *군자사(君子寺) 계묘년(정조 7, 1783) 6월 23일에 나는 아들 광류(光?)와 함께 두류산(頭流山) 구경을 가서 군자사(君子寺)에서 묵었다. 이 절의 사적을 적은 현판이 걸려 있기에 이를 줄여서 적는다. "천령(天嶺 경남 함양(咸陽)의 옛이름)의 남쪽 50여 리.. 2008. 12. 24.
산동애가(山東哀歌) -山洞哀歌 잘 있거라 산동아 너를 두고 나는 간다 열 아홉 꽃 봉오리 피어보지 못한 채로 가마귀 우는 골에 병든 다리 절며 절며 달비 머리 풀어 얹고 원한의 넋이 되어 노고단 골짜기에 이름 없이 쓰러졌네 '산동애가'(山東哀歌)의 일부이다. 산수유가 노랗게 지리산 녘을 뒤덮을 때면 사람들의 입에 .. 2008. 7. 24.
지리산 산신체계 밝혔다 지리산 산신체계 밝혀졌다 경상大 신경득 교수 논문 발표 김성수 기자  경상대학교의 한 교수가 지리산의 산신체계를 밝힌 논문을 발표해 화제를 모으고 있다.  경상대 국어국문학과의 신경득(辛卿得) 교수가 그 주인공. 신 교수는 ‘배달말’(제42집)에 실은 ‘웅녀의 산신격 연구’라는 논문에서 .. 2008. 7. 23.
구형왕 영정 도난사건, 1910년 영정 찾는 광고 한세기, 경남의 흔적 (12)구형왕 영정 도난사건 선조 영정 찾는 광고 신문에 실려 강동욱 기자  산청군 금서면의 '구형왕릉’은 후기가야 대맹주인 구형대왕의 능이라고 알려졌다. 구형왕은 가락국 시조 수로왕의 10세손으로 521년 왕위에 올라 재위 11년만인 532년 신라 법흥왕의 침공을 받자 ‘토지를 .. 2008. 6. 12.
지리산 산신을 찾아서②/월간山 지리산 산신을 찾아서② 고대한국은 할매산신이 주도 가장 영험하기로 소문난 지리산 산신에 관한 고찰에 이어 이번에는 산봉우리에 존재한다는 여자 산신령에 주목해 보고자 한다. 산신령의 성별(性別)에 대한 쟁점은 단순하게 설명되기 어려운 부분이어서 20여 년간 계속되어온 나의 연구에도 불구.. 2008. 4. 23.
지리산 산신을 찾아서① 지리산 산신을 찾아서① 한국의 산신에 대한 전통은 영속적인 고대 문화의 핵심이었으며, 결코 사라지지 않고 여전히 강력하게 존속하고 있다. 또한 새롭게 만들어지는 산신 탱화와 동상들은 더욱 더 커지고, 상세하면서 복잡해지며, 더 화려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많은 지역에서 발견할 .. 2008. 4. 22.
지리산 쌍계사의 역사와 문화(3) Ⅳ. 맺는 말 지리산 남쪽 자락에 자리하고있는 雙磎寺는 신라 성덕왕 23년(서기 724년) 삼법화상이 남종선의 조사 육조 혜능대사 死後, 대사의 정상(머리뼈)을 중국(당)에서 수습하여 꿈에서 계시하는 대로 지리산 자락 ‘雪裏葛花處’56) 인 경남 河東 花開面에 봉안하며 창건하였다는 설화가 전승되며, .. 2007. 12. 14.
지리산 쌍계사의 역사와 문화(2) Ⅲ.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智異山 遊覽錄 속에 비친 雙磎寺 1. 지리산 遊覽 旅程과 쌍계사로의 접근 방법 조선시대 사대부들은 산수를 유람하고 遊覽錄(遊山記)을 많이 남겼는데,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 유람록 중 각기 다른 여정으로 지리산 쌍계사로 접근하고, 당대에 있어서의 학문.사상적인 성취가 .. 2007. 12. 14.
지리산 쌍계사의 역사와 문화(1) 目 次 Ⅰ. 머리말 --------------------------------------------1 Ⅱ. 智異山 雙磎寺의 歷史와 文化 --------------------------3 1. 雙磎寺 創建說話 ----------------------------------3 2. 雙磎寺 가람배치의 특징 ----------------------------4 3. 雙磎寺의 殿閣 槪觀 ------------------------- ------4 4. 범패(梵唄)와 八詠樓 -------------------------------9.. 2007. 12. 14.
잃어버린 가야 역사 傳구형왕릉을 찾아서 ◈읽어버린 伽倻 역사, ‘傳 구형왕릉’을 찾아서 -사적 214호.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1. 전설의 왕릉, 구형왕릉 지리산 천왕봉 북동쪽, 지리산 동부 산자락을 멋지게 바라볼 수 있는 곳이 있으니 그곳은 바로 王의 山, 王山이다. 지리산 주능선도 아닌, 지능선의 고도 923m 봉우리가 이 웅장한 산줄.. 2007. 10. 19.
지리산 유람록 속의 수도승과 불교 ◈지리산의 수행승 ◎700명의 제자를 거느린 부휴 조선시대에도 지리산에는 많은 절이 있었다. 단속사, 쌍계사, 화엄사, 연곡사, 군자사, 영신사, 의신사, 신흥사, 법계사, 묵계사, 불일암, 향적사, 덕산사, 칠불사, 사자암 등이 그것이다. 시절 인연은 어려워도 절마다 등불을 밝혔고, 새벽이면 지리산 깊.. 2007. 8. 24.
구례 피아골 연곡사(7)정비 및 복원을 위한 제언 연곡사 정비 / 복원을 위한 제언 성 춘 경 (전라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연곡사는 그 규모면에서는 화엄사에 비할 바 못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석조물을 보면 상당히 지조 높은 선객이 주석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우선 부도의 섬세함과 우미한 모습이 그렇고 탑비의 강건하고 우람한 기품이 이를 말해준.. 2007. 5. 14.
구례 피아골 연곡사⑥주변의 불교 유적 http://blog.joins.com/choys56/7532329 등록일 : 2007-02-07 15:21:35 연곡사 주변의 불교 유적 최 인 선 (전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강사) 이 조사는 연곡사 지표조사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범위는 연곡사가 위치한 계곡 즉 토지면 외곡리, 내동리, 내서리 일대로 한정하였다. 조사대상은 불교유적으로 사지(.. 2007. 5. 9.
[스크랩] 구례 피아골 연곡사⑤불교유적/유물 연곡사의 불교 유적 / 유물 황 호 균 (전남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원) Ⅰ. 머리말 이 글은 연곡사 지표 조사의 한 분야로 불교 유적?유물에 대해 조사한 결과물이다. 연곡사는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번지에 속하며 지리산 피아골짜기 아래에 자리한다.(사진 1∼4) 사세는 인근 화엄사에 비.. 2007. 5. 5.
구례 피아골 연곡사④ 연곡사의 시굴 조사 -4 임 영 진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조교수) 황 호 균 (전남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원) Ⅰ. 조사 개요 연곡사의 시굴 조사는 종각을 건립하기 위한 굴토 작업 중 지하에 묻혀 있던 축대가 노출된 것이 계기가 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번 조사는 일부가 드러난 축대의 규모와 .. 2007. 4. 30.
구례 피아골 연곡사③ ▣구례 연곡사지 지표조사 보고 3-연곡사의 연혁 이 계 표 (광주직할시 문화재 전문위원) 연곡사는 지리산 반야봉 법왕대 아래 연곡동에 있어 연곡사라 불리운다. 이른바 피아골 입구에 있는 유서 깊은 선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본사인 화엄사의 말사(末寺)이다. 연곡사의 초창과 창건주에 관해.. 2007. 4. 26.
구례 피아골 연곡사② ▣구례 연곡사 지표조사 보고 2-연곡사의 위치 및 환경 이 영 문 (전남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 1. 위치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구례군은 소백산맥으로 경상남도 하동군이, 서쪽으로 곡성군이, 남쪽으로 승주군과 광양군이, 북쪽으로 전라북도 남원군과 접하고 있다. 지도상으로는 동경 127°22´.. 2007. 4. 25.
구례 피아골 연곡사① ▣구례 연곡사 지표조사 보고① 1- 서문 연곡사는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번지의 지리산 피아골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찰은 정유재란과 구한말의 두 차례 방화로 전각이 소실되어 폐사에 직면하였으나 다행히 경내에 조각이 섬세한 동부도를 비롯하여 삼층석탑.북부도.소요대사부도.동.. 2007. 4. 24.
역사 속의 지리산<21>지리산 약용식물 역사 속의 지리산(21)지리산 약용식물 인위적 생태계 조절에 멸종 위기...삼지구엽초 등 희귀 자원 … 활용 못하고 훼손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은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등 3도 5개 시·군에 걸쳐 있는 거대한 산이다. 이 지리산의 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는 해방 전 일본인이 시작했다. 해방 후에도 몇 사.. 2007.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