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제국 伽倻/기획연재22 가야가 살아온다<15>예안리 사람들 가야가 살아온다 <15> 제3부 가야인의 삶 ④예안리 사람들 [국제신문] #1천6백년전 삶의 편린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에는 가야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더듬어볼 수 있는 유적이 있다. 사적 261호 예안리 고분군이다. 부산→김해 14번 국도를 따라가다 김해 선암다리를 건너 우회전해 서낙동강을 .. 2008. 2. 15. 가야가 살아온다<20>가야불교 가야사 16. 제3부 가야인의 삶 ⑤가야불교 --------[국제신문/2003년/1월10일] #즐비한 ‘가락고찰’ 김해시 동북쪽의 신어산(630m) 중턱에는 은하사(銀河寺)란 유서깊은 절이 있다. 김해시 어방동 인제대 앞을 지나 가야랜드에 닿기 전에 우회전, 산쪽으로 2.2㎞ 들어가면 병풍같은 바위산을 배경으로 고즈넉.. 2007. 11. 9. 가야가 살아온다<19>예안리 사람들 가야가 살아온다 <15> 제3부 가야인의 삶 ④예안리 사람들 [국제신문] #1천6백년전 삶의 편린 경남 김해시 대동면 예안리에는 가야인들의 삶을 사실적으로 더듬어볼 수 있는 유적이 있다. 사적 261호 예안리 고분군이다. 부산→김해 14번 국도를 따라가다 김해 선암다리를 건너 우회전해 서낙동강을 .. 2007. 11. 8. 가야가 살아온다<18>가야 연맹체설은? 가야가 살아온다 '가야 연맹체설은' [국제신문] 미니/가야 연맹체설 무엇이 문제 --------------- 가야사 연구에서 연맹체설(聯盟體說)은 가야의 정치체제와 사회성격 등을 규정짓는 핵심 쟁점이다. 미완의 가야사를 규명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풀어야할 난제이기도 하다. 그런만큼 이와 관련.. 2007. 11. 6. 가야가 살아온다<17>가야사의 기점 연구'는 가야가 살아온다 '가야사의 기점 연구는' [국제신문] 가야로 통칭되는 정치세력의 소멸시기는 서기 562년이다. 이 연대가 가야사의 하한선이라는데엔 별 이견이 없다. 그러나 가야사의 기점은 다양한 설이 제기돼 있다. 크게는 김해 구야국을 포함한 변한(弁韓) 사회의 시작을 가야사의 시작으로 보.. 2007. 4. 13. 가야가 살아온다<16>가야인의 시간의식과 연중행사 가야가 살아온다 <14> 제3부 가야인의 삶 ③시간의식과 연중행사 [국제신문] 가야가 살아온다14. / 가야인의 삶/ ③시간의식과 연중행사 ------------- 가야사 연구는 1980년대 이후 눈부신 진전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의 대부분은 가야의 전쟁과 외교를 중심으로 하는 정치사나 국제관계.. 2007. 3. 28. 가야가 살아온다<15>日최초 왕국의 첫 여왕은 가야 공주? 가야가 살아온다 <11>'日최초 왕국의 첫 여왕 가야 묘견공주'說 논란 [국제신문/2002년/11월] 한·일 두나라의 고대 사학계를 들여다 보면 ‘이상한 현상’을 발견한다. 일본측 역사학자 십중팔구는 그들이 고대한국을 지배했다는 임나일본부설을 지지 또는 동조하는데 반해, 한국에서는 백제 또.. 2007. 2. 27. 가야가 살아온다<14>기마민족설 그 후... 가야가 살아온다<11> 제2부 비빌의문 (5)기마민족설 그 후 [국제신문/02년/11월] 지난 11일 일본에서 날아든 부음 하나는 한·일 고대사 연구의 폭풍과도 같은 한 페이지를 들추어보게 했다. '기마민족설 주창, 에가미 나미오씨, 96세 일기 마감'. 에가미는 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8년 기마민족설을 제기.. 2007. 2. 23. 가야가 살아온다<13>임나일본부의 실체 가야가 살아온다 <10> 제2부 비밀의 문 ④임나일본부 [국제신문/02년 11월] 가야사 <10> 제2부 비밀의 문 ④임나일본부에 가린 ‘임나’ 고대 한·일관계사를 전공한 양국 고고학자들은 여러모로 닮은 점이 많다. 학자된 입장에서 싫든 좋든 상대국 문화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지다 보니 서로 동화.. 2007. 2. 19. 가야가 살아온다<12>가야의 실체 가야가 살아온다 <9> 제2부 비밀의 문 ③6가야의 실체 [국제신문/02년 /11월] 김해시 구산동 구지봉 정상의 천강육란석조상. 김해시는 이를 곧 철거, 구지봉의 원형을 회복토록 할 계획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 나오는 수로왕 신화에는, 김해 구지봉에 9간이 모인 상태에서 하늘에서 여섯 개의 황.. 2007. 2. 12. 가야가 살아온다<11>허왕후를 찾아서 가야가 살아온다 <8> 제2부 비밀의 문 ②허왕후를 찾아서 [국제신문/02년/11월] #어디서 왔을까 신비에 싸인 가야사를 더욱 신비롭게 만드는 것 중 하나가 김수로왕의 부인 허왕후의 출신지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는 허왕후의 입을 빌려 ‘저는 아유타국(阿踰陀國)의 공주로서 성은 허(許)요,.. 2007. 2. 11. 가야가 살아온다<10>구지봉과 개국 가야가 살아온다 <7> 제2부 비밀의 문 ①구지봉과 개국 [국제신문] 2부/비밀의 문(7) 1. 구지봉과 개국 #가락국의 랜드마크 김해 분산(盆山·330m). 김해시가지 뒤편에 오뚝 솟은 이 산은 앉음새가 예사롭지 않다. 지리산에서 동남쪽으로 굽이쳐 달려온 낙남정맥의 끝지점인데다, 낙동강 하구와 남해를.. 2007. 2. 10. 가야가 살아온다<9>구형왕릉의 수수께끼 가야가 살아온다 <6> 구형왕릉의 수수께끼[국제신문] /구형왕릉의 수수께끼 --------------------- “나라를 보전하지 못한 몸이 어찌 흙속에 묻히랴. 차라리 돌속에 들어가서라도 가야 백성을 지키겠노라….” 금관가야의 구형왕이 죽음을 앞두고 별궁이 있었다고 전하는 지리산 자락 수정궁(水晶宮)에.. 2007. 2. 7. 가야가 살아온다<8>가야왕과 후예 가야가 살아온다 <6> 제1부 낙동강의 여명 ⑤ 왕과 후예 [국제신문] #비운의 양왕(讓王) 경남 산청읍에서 서북쪽으로 40여리 떨어진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인 1001번 지방도를 따라 들어가면 왕산(王山) 기슭에 돌탑 형태의 신비한 돌무더기를 만난다. 가파른 경사면에 수만개의.. 2007. 2. 5. 가야가 살아온다<7>신라문화의 자양분 가야가 살아온다 <5> 제1부 낙동강의 여명 '신라 문화의 자양분' [국제신문] 5> 제1부 낙동강의 여명 4/삼국통일의 자양분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동 만옥정공원. 비화가야의 옛땅인 이곳 기슭에는 ‘진흥왕 척경비’(眞興王 拓境碑·국보 제33호)가 우뚝 서 있다. 이 비석은 우연히 발견됐다. [.. 2007. 2. 2. 가야가 살아온다<6>찢겨진 역사, 힘겨운 복원 가야가 살아온다 <4> 제1부 낙동강의 여명[국제신문] 가야사4. /3. 찢겨진 역사 힘겨운 복원/ -------- #국회에서 화제가 된 가야 지난 23일 국회 문화관광위 국정감사장. 심재권(민주) 의원이 준비한 자료를 들추며 질의에 들어갔다. “영국의 세계사 교과서에는 고대 한국의 가야지역이 일본의 영토로 .. 2007. 2. 1. [가야가 살아온다]<5>日 토기에 새겨진 가야인의 숨결 가야가 살아온다 <3> 日 토기에 새겨진 가야인의 숨결[국제신문] 시리즈<3> 제1부 낙동강의 여명 ②‘일본 속 가야’ 르포 지난달 26일 오전 부산~후쿠오카행 쾌속여객선. 일본 속 가야의 자취를 찾기 위해 취재진은 배편을 선택했다. 1천7백여년전 현해탄을 건너 일본으로 진출한 가야인의 뱃길.. 2007. 1. 31. [가야가 살아온다]<4>3세기 김해는 동북아 유일 무역항 가야가 살아온다 <2> 3세기 김해는 동북아 유일 무역항[국제신문] 제1부 낙동강의 여명 <1> 철의 해양왕국 ◆1천7백년전 시간여행 경남 김해시 중심부의 나지막한 구릉지인 봉황대(鳳凰臺). 금관가야(가락국)의 국읍(國邑)이 있었다는 곳. 봉황대 바로 아래에 바닷물이 출렁거린다. 김해평야는 .. 2007. 1. 28. [가야가 살아온다]<3>가야 이름 기원은 가야가 살아온다 <2> 가야 이름·기원은[국제신문] 가야, 가라, 가락, 임나…. 가야는 여러가지 이름을 갖고 있다. 한자표기도 加耶(신라시대), 伽耶(고려), 伽倻(조선) 등으로 시대가 내려오면서 사람 인(人)변이 하나씩 더해졌다. 가야는 고구려 백제 신라처럼 통일된 국가를 이루지 못해 시대별로,.. 2007. 1. 25. [가야가 살아온다]<2>옛 加耶人의 모습 가야가 살아온다 <1> 옛 가야人의 모습[국제신문] 가야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조용진 서울교대 교수가 복원한 가야 여자 모습 . 왼쪽은 정상인, 오른쪽은 편두이다.] 정확한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가야인의 얼굴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은 고분에서 나온 옛 가야인의 뼈 등 생물학적인 유물을 통해 .. 2007. 1. 23. 불멸의 제국 가야-3인 대담 [불멸의 제국 가야] 고대 4대국 '가야' 삼국사기서 의도적 삭제 3인 정담 2004/09/10 부산일보 042면 08:53:15 소설가 최인호씨의 본격 가야사 소설 '제4의 제국'의 연재를 시작하면서 가야사 대담을 꾸몄다. 대담에는 최씨와 고고학과 문헌사학 분야에서 가야사의 권위자인 신경철 부산대 교수,그리고 김태식 .. 2007. 1. 1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