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리산 산길따라232

지리산 풍경(음정-소금길-벽소령-형제봉-음정) 사용자 PC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스크립트를 차단했습니다. 원본 글을 보시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쥐오줌풀] [이슬꽃?] [벽소령대피소] 2007년 6월 2~3일, 지리산자락 함양군 마천면 음정마을의 두란산장에서 하룻밤을 보내고, 일요일 07:00가 조금 지난 시각, 차량으로 지리산휴양림 옆으로 난 도로 끝으.. 2007. 6. 5.
지리산 바래봉에서 만난 풍경 [지리산 서북능선 팔랑치 풍경] 그리움, 긴 기다림 끝의 만남이었지만, 기다렸던 세월만큼 그리움만 더 늘렸다. 가슴 먹먹한 안타까움 없이 사랑을 어디 쉽게 이루랴마는 그 찰나 같은 시간에 일년의 개화를 속절없이 버림에는 내게 전할 어떤 이야기가 있음이리라. [지리산 바래봉] 지리산 바래봉 철.. 2007. 5. 22.
구례 피아골 연곡사(7)정비 및 복원을 위한 제언 연곡사 정비 / 복원을 위한 제언 성 춘 경 (전라남도 문화재 전문위원) 연곡사는 그 규모면에서는 화엄사에 비할 바 못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석조물을 보면 상당히 지조 높은 선객이 주석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우선 부도의 섬세함과 우미한 모습이 그렇고 탑비의 강건하고 우람한 기품이 이를 말해준.. 2007. 5. 14.
[스크랩] 형제봉 산행 기록 (050508. 일. 어버이날) 1. 산 행 지 : 경남 하동군 악양면 형제봉(1,115m) 2. 산행일시 : 2005. 05.08.어버이날, 일요일, 08 :20 - 15 : 35 (점심시간 포함, 약 7시간) 3. 팀 산 행 : cafe. "지리산 산길따라" 5월 정기모임 산행 4. 산행인원 : 대략 15명 정도 5. 산행시간기록 08 : 20 시멘트 임도에 주차후 출발 08 : 42 무명사에서 출발 08 : 54 첫번째 .. 2007. 5. 11.
구례 피아골 연곡사⑥주변의 불교 유적 http://blog.joins.com/choys56/7532329 등록일 : 2007-02-07 15:21:35 연곡사 주변의 불교 유적 최 인 선 (전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강사) 이 조사는 연곡사 지표조사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범위는 연곡사가 위치한 계곡 즉 토지면 외곡리, 내동리, 내서리 일대로 한정하였다. 조사대상은 불교유적으로 사지(.. 2007. 5. 9.
[스크랩] 구례 피아골 연곡사⑤불교유적/유물 연곡사의 불교 유적 / 유물 황 호 균 (전남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원) Ⅰ. 머리말 이 글은 연곡사 지표 조사의 한 분야로 불교 유적?유물에 대해 조사한 결과물이다. 연곡사는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번지에 속하며 지리산 피아골짜기 아래에 자리한다.(사진 1∼4) 사세는 인근 화엄사에 비.. 2007. 5. 5.
구산선문의 탯자리, 남원 실상사 [여행] 남원 실상사 '깨달음이 거기 있구나' 장승과 눈 맞추고 無의 경지로 들어서면… 백두산에서 흘러온 백두대간의 기운이 영롱하게 맺힌 지리산은 우리 민족의 영산이다.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1,915m)이 올려다 보이는 남원 만수천 기슭에 자리 잡은 실상사(實相寺)는 통일신라 시대인 828년(흥덕.. 2007. 4. 30.
구례 피아골 연곡사④ 연곡사의 시굴 조사 -4 임 영 진 (전남대학교 인류학과 조교수) 황 호 균 (전남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원) Ⅰ. 조사 개요 연곡사의 시굴 조사는 종각을 건립하기 위한 굴토 작업 중 지하에 묻혀 있던 축대가 노출된 것이 계기가 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따라서 이번 조사는 일부가 드러난 축대의 규모와 .. 2007. 4. 30.
구례 피아골 연곡사③ ▣구례 연곡사지 지표조사 보고 3-연곡사의 연혁 이 계 표 (광주직할시 문화재 전문위원) 연곡사는 지리산 반야봉 법왕대 아래 연곡동에 있어 연곡사라 불리운다. 이른바 피아골 입구에 있는 유서 깊은 선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본사인 화엄사의 말사(末寺)이다. 연곡사의 초창과 창건주에 관해.. 2007. 4. 26.
구례 피아골 연곡사② ▣구례 연곡사 지표조사 보고 2-연곡사의 위치 및 환경 이 영 문 (전남대학교 박물관 학예연구사) 1. 위치 전라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구례군은 소백산맥으로 경상남도 하동군이, 서쪽으로 곡성군이, 남쪽으로 승주군과 광양군이, 북쪽으로 전라북도 남원군과 접하고 있다. 지도상으로는 동경 127°22´.. 2007. 4. 25.
구례 피아골 연곡사① ▣구례 연곡사 지표조사 보고① 1- 서문 연곡사는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내동리 산54-1번지의 지리산 피아골에 위치하고 있다. 이 사찰은 정유재란과 구한말의 두 차례 방화로 전각이 소실되어 폐사에 직면하였으나 다행히 경내에 조각이 섬세한 동부도를 비롯하여 삼층석탑.북부도.소요대사부도.동.. 2007. 4. 24.
역사 속의 지리산<21>지리산 약용식물 역사 속의 지리산(21)지리산 약용식물 인위적 생태계 조절에 멸종 위기...삼지구엽초 등 희귀 자원 … 활용 못하고 훼손 국립공원 1호인 지리산은 전라남북도, 경상남도 등 3도 5개 시·군에 걸쳐 있는 거대한 산이다. 이 지리산의 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는 해방 전 일본인이 시작했다. 해방 후에도 몇 사.. 2007. 4. 13.
역사 속의 지리산<20>동편제, 지리산서 소리의 힘 역사 속의 지리산(20)동편제 섬진강 동쪽 남원·순창서 전승된 소리 … '호방' '남성적' 옥보고 등 역사 속 인물 지리산서 '소리 힘' "서편제가 애절하고 정한이 많다면 동편제는 무겁고 맺음새가 분명한 소리지. 하지만 한을 넘어서게 되면 동편제도 없고 서편제도 없고 득음의 경지만 있을 뿐이야." 영.. 2007. 4. 9.
진주 농민항쟁과 형평운동 역사 속의 지리산(19)진주 농민항쟁과 형평운동 지리산 닮은 남명 선생의 사상적 힘 이걸이 저걸이 갓걸이 진주망건 또 망건/ 짝 발이 휘양건 도래 줌치 장도칼/ 머구밭에 덕서리 칠팔월에 무서리 동지섣달 대서리’ 150여 년 전 진주농민항쟁을 이끈 류계춘 선생이 퍼트린 흥얼거림이다. 갓걸이처럼 양.. 2007. 4. 6.
지리산 불일평전 풍경 [불일평전 풍경. 앞의 연못은 반도지,오른쪽의 봉명산방, 그리고 왼쪽 뒤는 소망탑] 지리산 쌍계사에서 산으로 난 길을 따라 약 50여분 올라가면 갑자기 아주 너른 공간이 나온다. 이곳이 바로 이상향인 청학동으로도 지목 받던 ‘불일평전’이다. 평전에는 야영장과 쉼터, 그리고 주거공간이 있는데 .. 2007. 4. 4.
지리산과 도교사상 역사 속의 지리산(18)지리산과 도교사상 낙랑비서· 동의보감 중심에 지리산 있다...최치원·곽여·양예수 등 은거하며 도 터득 상고시대 천지가 개벽할 때도 침몰하지 않았다고 전하는 삼신산. 도교의 삼신산 중 하나가 방장산인데, 이 산이 바로 지리산이다. &lt;세종실록지리지&gt;에서는 지리산을 .. 2007. 4. 4.
황홀한 선인들의 숨결-쌍계사④ [쌍계사 진감선사대공령탑비를 중심으로 공간 풍경] [진감선사대공령탑비 2007/4.1] ▣선인들의 숨결을 느끼다. -쌍계사 진감선사대공령탑비(眞監禪師大空靈塔碑) 쌍계사 팔영루를 우회하여 대웅전 아래의 공간으로 들어서면, 마당 중앙에 힘겹게 서있는 오래된 탑비(塔碑)를 만나게 된다. 비신(碑身)의.. 2007. 4. 3.
역사 속의 지리산<17>진주 청곡사 괘불 역사 속의 지리산(17)진주 청곡사 괘불 한국불교에만 있는 전매특허품...조선후기 불화승 의겸 작석가모니 설법하는 장면 길이 10m, 폭 6.37m에 달하는 진주 금산 청곡사 괘불(국보 302호). 겸재 정선과 같은 시대를 살았던 조선 후기 대표적 불화승 의겸이 10명의 화승과 함께 제작한 그림이다. 괘불은 .. 2007. 3. 30.
역사 속의 지리산<16>지리산의 전설과 설화 역사 속의 지리산(16)지리산의 전설과 설화 '겨레의 꿈이자 삶의 거울' 같은 이야기 땅 힘에 대한 믿음이 담긴 서낭이야기. 자연은 모두 하나라고 말하는 청학동 전설. 자연의 힘을 두려워하고 존경했음이 여실히 드러나는 황산대첩의 뒷이야기. 지리산은 짙은 수풀의 뫼이듯이 켜켜이 쌓인 이야기의 .. 2007. 3. 28.
明月雙溪水요, 淸風八詠樓라-쌍계사③ [쌍계사 구층석탑과 팔영루] ▣明月雙溪水(명월쌍계수)요, 淸風八詠樓(청풍팔영루)라-쌍계사③ -쌍계사의 가람배치- 金堂영역과 大雄殿영역 피안(彼岸.불국토)에 이르는 경계의 마지막 門, 천왕문에서의 통과의례는 그런대로 잘 치러진 듯하다. 멀뚱히 쳐다보며 지나치던 금강문에서와 달리 어느새 .. 2007. 3. 27.
역사 속의 지리산<15>화엄사 가람배치의 비밀 역사 속의 지리산(15)화엄사 가람배치의 비밀 대웅전·각황전 절묘한 건축 ‘놀라워’ 화엄사는 입구가 시원하게 열린 개방형이다. 그릇만큼 채워진다는 말이 있다. 화엄사를 창건한 스님들은 미래를 예견하면서, 이곳을 대총림도량으로 키우려고 했던가보다. 그들의 믿음대로 1500년이 지난 지금, 지.. 2007. 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