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4제국 伽倻/가야사 자료

'제4의 제국 가야' 따라보기

◈제 4의 제국 가야/기획 의도
“1500년 전의 글로벌리즘”
“《삼국사기》라는 자폐증(自閉症)에서 벗어나라”
“이제는 삼국시대(三國時代)가 아닌 사국시대(四國時代)”
“가야는 비밀의 왕국, 일본의 문을 열 수 있는 빗장이자 열쇠”
▶ 1500년 전의 글로벌리즘
삼국사기에 기초한 삼국 중심의 해석은 한국 고대사에 많은 의문과 의혹을 남겼다.
그리고 그것은 곧 이웃 중국과 일본에 역사 왜곡의 빌미를 제공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시점에서, 역사 속에서 의도적으로 제외되었고, 왜곡의 중심에 있었던 가야를 논하는 것은
한국 고대사를 바로 세우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
조금만 시각을 달리 해보면, 한국의 고대사는 수많은 가능성의 시대이자 다양성의 시대로 재해석 될 수 있다. 특히 가야는 그 건국 신화에서부터 개방성과 포용성을 보인다. 위치적으로도 한반도 남단에서
바다와 접해 있었던 것을 보면 그러한 해석은 충분히 가능성 있는 것이다.
현대의 이론화된 글로벌리즘을, 1500년 전의 가야는 이미 몸소 실천하고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역사는 시간이 지날수록 오래 묵는 것이 아니라, 새롭게 발굴되어 가는 것이다.
가야의 역사를 다시 들여다봄으로써, 우리는 동아시아 역사의 큰 축이었던 한반도의 옛 모습은 물론,
미래의 모습까지도 새롭게 그려볼 수 있을 것이다.
▶ 소설가 최인호가 풀어내는 가야사
백제의 [잃어버린 왕국], 고구려의 [왕도의 비밀], 신라의 [해신] 등에 이은 역사 추적의 완결판.
잠들어있던 가야의 역사를 되살려내기 위해 소설가 최인호가 나섰다.
작은 실마리도 놓치지 않는 집요함과 소설가의 예리한 감각으로 추적하는 가야의 흔적들.
5개국을 1년여에 걸쳐 제작진과 함께 직접 취재하여 가야의 역사를 재현해낸다.
▶ 가야의 비밀을 밝히는 열쇠, 대성동 13호 고분
김해 지역에 갑자기 나타났다 홀연히 사라진 거대한 고분군.
그리고 그곳에서 발견된 낯선 유물들. 이들은 어디로부터 온 것일까.
이전의 고분들에서는 발견할 수 없었던 북방계 유물인 동복과 일본 고유의 유물로 알려진 파형동기.
일본에서도 지도자층의 무덤에서만 발견되는 이 유물은 추적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들이 함께 발견된 대성동 고분의 주인공은 북방 기마민족은 물론 일본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거대한 고분을 축조할 정도로 권력을 가지고 있었던 가야의 지배층, 그들은 어떤 인물이었을까.
▶ 일본 천황가는 가야계
대성동 고분군은 고구려의 정벌 이후 갑자기 축조가 중단된다.
이 고분군을 축조했던 세력들은 어디로 갔을까.
최인호의 시선은 한반도에서 바다 건너 일본으로 향한다.
같은 시기 갑자기 늘어난 일본의 인구, 급격한 문화 발전.
그리고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가야와 일본의 신화.
지금은 발굴은 물론 접근조차 금지되어 있는 고대 일본 천황릉에서 출토된 북방계의 유물들이 의미하는 바는 과연 무엇인가.
흐트러져 있던 퍼즐의 조각이 하나 둘 맞춰지기 시작한다.
▶ 신화는 사실이었나 - 고대 가야와 인도의 관계
고대의 바다는 단절이 아닌 연결을 의미했다.
대성동 고분에서 발견된 파형동기의 모체인 조개는 일본뿐만 아니라 멀리 인도에서도 신성시되고 있다.
인도는 가야의 매혹적인 신화 속에 등장하는 허황옥의 고향이기도 하다.
그녀는 과연 인도에서 온 공주인가.
조개의 길을 따라 신화 속에 남아있는 역사의 흔적을 추적한다.
▶ 고대 가야인의 뿌리 찾기 - 고인골(古人骨) DNA 분석 실험
서울대 서정선 교수팀이 가야 고분의 고대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 실험했다.
미토콘드리아 DNA란 세포의 세포질에 있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DNA로, 죽은 세포나 아주 미량의
시료에서도 추출이 가능하여 일반 DNA 검사가 불가능한 부분에 많이 활용되는 것이다.
철저히 모계 유전의 방식으로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까닭에 인류계통조사에 응용되기도 한다.
한국인 고대 인골로는 거의 최초의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이 실험의 결과는?
남방계와 북방계, 가야인들의 뿌리 찾기가 시작된다!
▶ 동북공정 이후 최초로 카메라에 담은 부여 유물
허가를 받기까지 오랜 기간,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 카메라에 담은 소중한 우리의 유물!
역사 왜곡이 심각한 오늘, 우리가 처한 현실을 돌이켜보게 된다.
▶ 이제는 三國時代가 아닌 四國時代다!
고구려, 백제, 신라와 더불어 엄연히 동시대에 존재했으면서도 동등한 대접을 받지 못한 채 삼국의
그늘에 가려져있던 가야. 역사 속에서 일찍이 사라져갔지만 그들은 한 때 광개토대왕이 5만 대군을
보내 맞설 정도로 큰 세력을 가지고 있었다.
가야는 분명히 한반도 내에서 고구려, 신라, 백제와 함께 당시 동아시아사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야를 제외하고 한반도의 고대사를 삼국으로 규정지어 버리는 것은 우리의 고대사를 억지로
불균형의 상태에 빠뜨리는 것과 다름없다.
고대사는 아직 연구되고 밝혀져야 할 것이 많다. 도외시되고 있던 가야사 역시 이제부터라도 제대로 된 대접을 받아야 할 것이다. 완전하게 맞추어지지 않은 고대사란 퍼즐에 가야라는 조각을 추가함으로써
비로소 우리의 고대사도 완전해질 수 있을 것이다.


* * * * * * * * * * *
제1편-대륙의 아들
1편 - 대륙(大陸) 의 아들 (3월 7일 밤 10시, KBS 1TV)
▶ 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대성동 고분
[김해 대성동 고분]
가야의 건국설화가 깃든 구지봉(龜旨峰)과 봉황대(鳳凰臺) 사이에 자리한 대성동 고분군.
금관가야의 지배층의 묘역으로 생각되는 이곳은 순장(殉葬)의 풍습과, 여러 가지 마구류(馬具類) 등
북방 유목민족의 습속과 유물이 발견되었고 통형동기(筒形銅器), 파형동기(巴形銅器)등
일본계 유물도 함께 발견되어 고대 가야 역사를 규명하는데 중요한 실마리가 되고 있다.
가야의 첫 번째 왕이자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신화의 주인공, 김수로.
그는 과연 어디에서 온 인물이고, 가야를 지배했던 사람들은 어떤 사람들이었을까.
▶ 대성동 고분 발굴단을 가장 충격에 빠뜨린 청동솥(동복)
[중국에서 발견한 오르도스형 동복]
북방 유목민들이 사용하던 취사도구의 일종인 동복.
이 동복이 왜 한반도 남단, 대성동 고분에서 발견되었을까?


동복은 스키타이 형과 오르도스 형으로 나뉘는데, 대성동 고분에서 발굴된 동복은
오르도스 형에 속한다.
오르도스 형 동복은 다리가 없고, 상부 장식이 단순한 것이 특징.
스키타이 형보다는 후기의 것에 속하는 것이다.
중국 오르도스 지역에서 출토되어 오르도스형 동복이라 불리게 되었다.
이 동복은 내몽골 오르도스 지방, 외몽골 노인울라, 길림성 유수, 한반도 북부의 평양 등에 분포한다.
백제, 신라 고분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던 북방계 유물 동복.
이 동복은 어디서 온 것이고, 왜 대성동 고분에 묻혔을까.
▶ 김수로왕이 내려온 하늘, 그곳은 어디인가!
[길림성 박물관의 부여 유물, 동복]
북방계 유물 동복을 쫓아 중국으로!
그리고 어렵게 카메라에 담은 부여 유물들


동복의 자취를 쫓아 북쪽, 중국 땅으로 향한 추적.
내몽골 오르도스에서 발견한 동복은 대성동 고분의 동복과 흡사했다.
그렇다면 그 동복은 어떤 경로로 한반도에 들어온 것일까.
초원 실크로드, 옛 기마민족의 발자취를 따라 김수로가 강림하였던 하늘의 뿌리,
그 심장부를 찾는 추적은 계속된다.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쉽지만은 않은 추적.
왜곡된 우리의 고대사의 아픈 현실속에서 위험을 무릅쓰고 촬영한 기념비적 부여 유물들을 만나본다.
그리고 마침내 밝혀지는 김수로왕의 하늘. 비로소 가야의 역사가 시작된다.


* * * * * * * * * * *

제2편-파형동기의 비밀
제2편 파형동기(巴形銅器)의 비밀 (3월 8일 밤 8시, KBS 1TV)
▶ 대성동 고분의 왜계 유물, 파형동기
[일본 요시노가리의 파형문양]
일본에서도 왕들의 무덤에서나 발견되는 귀중하고 드문 유물 파형동기(巴形銅器).
일본의 유물로 알려져 있는 파형동기가 한국의 대성동 고분에서 나온 이유는 무엇일까.
파형동기는 방패꾸미개로 쓰이거나 화살통에 장식되었던 것이다.
출토된 곳이 주로 지배계층의 무덤이었던 것으로 보아 권위를 나타내는 의미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바다를 건너 파형동기를 쫓는 추적, 고대 가야와 일본의 관계가 밝혀진다.
▶ 파형동기의 모티브, 스이지가이(水字貝)
[일본 오키나와에서 발견한 스이지가이]
파형동기의 회전하는 갈고리 모양의 기원은 조개

서태평양과 인도양의 열대역에 넓게 분포하는 스이지가이.
오키나와 제도나 사키시마 열도에서는, 선사시대 때부터 장식품으로 이용되었던 조개다.
화재를 없애는 부적으로 집의 현관이나 축사에 매다는 풍습이 있었을 정도로 이 조개는 신성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런데 파형동기가 이 스이지가이의 모양을 본땄다고 한다.
조개는 고대에 빠뜨릴 수 없는 교역품이자 가공품.
규슈에서 오키나와로 이어지는 조개의 길을 따라 추적은 계속된다!
▶ 고인골(古人骨) DNA 분석
가야 고분의 고대 인골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실험
가야의 왕비 허황옥은 정말 인도에서 왔을까?


서울대 서정선 교수팀 분석한 가야 고분의 고대 인골.
고인골 분석에는 미토콘드리아 DNA가 쓰인다. 미토콘드리아 DNA란 세포의 세포질에 있는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DNA. 모계 유전의 방식으로 다음 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인류계통조사에 응용되는 것이다.
파형동기에서 조개로 이어진 추적 중에 밝혀진 놀라운 결과!
신화 속의 인도에서 온 공주, 허황옥의 자취를 쫓아 추적의 방향은 인도로 향한다.
그리고 그 곳에서 다시 만난 조개.
고대 바닷길은 과연 열려 있었던 것인가. /[KBS 홈페이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