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야사30

가야가 살아온다<8>가야왕과 후예 가야가 살아온다 &lt;6&gt; 제1부 낙동강의 여명 ⑤ 왕과 후예 [국제신문] #비운의 양왕(讓王) 경남 산청읍에서 서북쪽으로 40여리 떨어진 산청군 금서면 화계리.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인 1001번 지방도를 따라 들어가면 왕산(王山) 기슭에 돌탑 형태의 신비한 돌무더기를 만난다. 가파른 경사면에 수만개의.. 2007. 2. 5.
가야가 살아온다<7>신라문화의 자양분 가야가 살아온다 &lt;5&gt; 제1부 낙동강의 여명 '신라 문화의 자양분' [국제신문] 5&gt; 제1부 낙동강의 여명 4/삼국통일의 자양분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상동 만옥정공원. 비화가야의 옛땅인 이곳 기슭에는 ‘진흥왕 척경비’(眞興王 拓境碑·국보 제33호)가 우뚝 서 있다. 이 비석은 우연히 발견됐다. [.. 2007. 2. 2.
가야가 살아온다<6>찢겨진 역사, 힘겨운 복원 가야가 살아온다 &lt;4&gt; 제1부 낙동강의 여명[국제신문] 가야사4. /3. 찢겨진 역사 힘겨운 복원/ -------- #국회에서 화제가 된 가야 지난 23일 국회 문화관광위 국정감사장. 심재권(민주) 의원이 준비한 자료를 들추며 질의에 들어갔다. “영국의 세계사 교과서에는 고대 한국의 가야지역이 일본의 영토로 .. 2007. 2. 1.
[가야가 살아온다]<5>日 토기에 새겨진 가야인의 숨결 가야가 살아온다 &lt;3&gt; 日 토기에 새겨진 가야인의 숨결[국제신문] 시리즈&lt;3&gt; 제1부 낙동강의 여명 ②‘일본 속 가야’ 르포 지난달 26일 오전 부산~후쿠오카행 쾌속여객선. 일본 속 가야의 자취를 찾기 위해 취재진은 배편을 선택했다. 1천7백여년전 현해탄을 건너 일본으로 진출한 가야인의 뱃길.. 2007. 1. 31.
[가야가 살아온다]<4>3세기 김해는 동북아 유일 무역항 가야가 살아온다 &lt;2&gt; 3세기 김해는 동북아 유일 무역항[국제신문] 제1부 낙동강의 여명 &lt;1&gt; 철의 해양왕국 ◆1천7백년전 시간여행 경남 김해시 중심부의 나지막한 구릉지인 봉황대(鳳凰臺). 금관가야(가락국)의 국읍(國邑)이 있었다는 곳. 봉황대 바로 아래에 바닷물이 출렁거린다. 김해평야는 .. 2007. 1. 28.
[가야가 살아온다]<3>가야 이름 기원은 가야가 살아온다 &lt;2&gt; 가야 이름·기원은[국제신문] 가야, 가라, 가락, 임나…. 가야는 여러가지 이름을 갖고 있다. 한자표기도 加耶(신라시대), 伽耶(고려), 伽倻(조선) 등으로 시대가 내려오면서 사람 인(人)변이 하나씩 더해졌다. 가야는 고구려 백제 신라처럼 통일된 국가를 이루지 못해 시대별로,.. 2007. 1. 25.
[가야가 살아온다]<2>옛 加耶人의 모습 가야가 살아온다 &lt;1&gt; 옛 가야人의 모습[국제신문] 가야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조용진 서울교대 교수가 복원한 가야 여자 모습 . 왼쪽은 정상인, 오른쪽은 편두이다.] 정확한 기록이 없는 상태에서 가야인의 얼굴을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은 고분에서 나온 옛 가야인의 뼈 등 생물학적인 유물을 통해 .. 2007. 1. 23.
불멸의 제국 가야-3인 대담 [불멸의 제국 가야] 고대 4대국 '가야' 삼국사기서 의도적 삭제 3인 정담 2004/09/10 부산일보 042면 08:53:15 소설가 최인호씨의 본격 가야사 소설 '제4의 제국'의 연재를 시작하면서 가야사 대담을 꾸몄다. 대담에는 최씨와 고고학과 문헌사학 분야에서 가야사의 권위자인 신경철 부산대 교수,그리고 김태식 .. 2007. 1. 17.
[가야가 살아온다] <1> 프롤로그 가야가 살아온다 &lt;1&gt; 프롤로그[국제신문/02년/09/02] ▲현해탄에 부는 새바람 서양에 가장 많이 알려진 우리나라의 고대왕국은 가야다. 불행하게도 이는 일본이 주장한 임나일본부설, 즉 고대 왜(倭) 정권이 가야에 건설했다는 식민지에 대한 서양인들의 호기심 탓이다. [경남 창녕의 교동고분. 일제.. 2007.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