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문화재<47>김득신의 '밀희투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7)김득신의 ‘밀희투전’

돈이 인격 좌우해가는 시대상 ‘생생’

조선 후기의 3대 풍속화가라면 단원 김홍도와 혜원 신윤복, 긍재 김득신을 꼽습니다. 모두 국가기관인 도화서(圖畵署) 출신이었다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지요. 도화서 화원들은 국가에서 녹봉을 받았지만, 민간에 유통시킨 풍속화로 더욱 짭짤한 부수입을 올렸을 것입니다.

조선이 시장 경제의 초기 단계에 접어든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 풍속화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풍속화에 나타난 정도의 성문화와 신분사회에 대한 풍자는 큰 저항 없이 받아들여질 만큼 사회 분위기도 전 시대와는 달랐던 것 같습니다.

물론 남녀의 은밀한 만남을 열심히 추적하는데서 그치지 않고 노골적인 춘화(春畵)도 마다하지 않았던 혜원처럼 도화서에서 쫓겨난 것으로 알려진 사례도 없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혜원이 이 때문에 불행해지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오히려 문 앞에 줄을 설 정도의 그림 수요로 경제적인 여유를 찾으면서 더욱 자유분방하게 화업(畵業)을 이어갔다고 보아야 하겠지요.

김득신(1754∼1822)은 단원이나 혜원이 워낙 뚜렷한 개성을 발휘한 탓에 상대적으로 후대의 평가가 후하지만은 않습니다. 긍재의 시대에 풍속화가 최고조에 이르렀다지만, 한편으로는 풍속화 쇠퇴의 출발점으로 그를 지목하기도 하지요.

긍재(兢齋)라는 호는 전전긍긍(戰戰兢兢)이라는 ‘시경’의 구절에서 따왔다고 하지요. 몸을 움츠리고 조심하는 것이 좋다는 그의 인생관을 보여준다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4대에 걸쳐 20명의 도화서 화원을 배출했을 만큼 걸출한 그의 집안 내력도 개성있는 자신만의 화풍을 드러내는 데는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입니다.

그런 점에서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밀희투전(密戱鬪)’은 그의 작품으로는 소재부터가 파격적입니다. 투전은 길고 두꺼운 종이에 인물·새·짐승·곤충·물고기 등으로 끗수를 나타내어 겨루는 놀이라고 하지요. 몰래 즐긴다(密戱)고 한 것은 당시에 투전 도박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 그림은 주연과 조연이 명확합니다. 뒤에 앉은 두 사람은 얼굴 윤곽이 분명한 반면 앞의 두 사람은 마치 의궤에 그려진 인물처럼 흔해빠진 표정이지요. 게다가 뒤에 있는 인물들을 앞에 앉은 인물들보다 훨씬 크게 그려놓았습니다. 특정인을 모델로 삼았을 가능성도 없지 않은 것 같습니다.

방안에서는 긴장감이 느껴집니다. 적지 않은 판돈이 걸렸기 때문일 것입니다. 안경은 당시에 여간한 사람이 아니면 쓰지 못할 만큼 비쌌습니다. 오른쪽의 혈색좋아보이는 사내도 돈푼깨나 있어보이지요. 왼쪽의 사내는 작은 체구지만 돈주머니는 두둑합니다.

오른쪽의 개다리소반에는 술병이 놓여있는데, 잔이 하나뿐인 것을 보면 술보다는 물이 들었을 것 같습니다. 술이라고 하더라도 투전꾼들은 관심이 없다는듯 상을 멀찌감치 밀어놓았지요.‘출연자’들은 큰 돈이 걸렸는데 술이 웬말이냐고 이구동성 말하고 있는 듯합니다. 요강과 가래를 뱉는 타구(唾具)를 곁에 놓아둔 것을 보면 밤을 새울 요량인 듯합니다. 친구들 사이의 친선게임은 아닌 것이 분명합니다.

‘밀희투전’은 돈이 본격적으로 인격을 좌우해가기 시작하는 시대의 사회상을 어떤 풍속화보다도 리얼하게 그려냈습니다. 과장을 조금 보태, 이 작품이 없었다면 조선 후기 풍속화첩이 조금은 심심한 그림책이 되었겠지요. 긍재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일 것입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