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문화재 이야기(7)반가사유상과 모딜리아니

비뚜로 보는 문화재<7>반가사유상과 모딜리아니 조회(10) / 추천
등록일 : 2007-05-13 07:52:34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7) 반가사유상과 모딜리아니

삼국시대 조각상 빼닮은 서양화

반가사유상은 깨달음에 이르기 전의 싯다르타 태자가 모델입니다. 의자에 앉아 오른쪽 다리를 무릎에 올리고, 손으로는 턱을 괸 채 명상에 잠겨 있습니다.

태어나면 죽을 수밖에 없는 인생에 무상함을 느끼고 출가한 뒤 중생구제에 고뇌하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삼국시대 반가사유상도 그렇습니다. 삼산관(三山冠)을 쓴 것과 태양과 초승달을 상징하는 일월식(日月飾) 보관을 쓴 것이 각각 국보 제83호와 제78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국가적 차원의 문화재 해외전시가 있을 때마다 우리의 문화수준을 다시 보게 만드는 존재들이지요.

사실 ‘세계 최고’라는 표현은 화상(畵商)이나 골동품 거간이라면 모를까, 쉽게 할 수 있는 얘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삼산관 반가사유상은 작고한 고고미술사학자 김원룡 선생으로 하여금 “우리나라에 세계 최고의 조각가가 있었다는 것을 누구도 부인 못하게 하는 걸작”이라고 토로하게 만들었습니다.

한국 미술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반가사유상은 두 작품에 그치지 않습니다. 역시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보물 제331호 방형대좌 반가사유상이 있습니다. 높이가 28.5㎝이니 각각 93.5㎝,83.2㎝인 삼산관, 일월식 반가사유상보다는 훨씬 작습니다.

이 사유상을 처음 대하는 느낌은 낯설음입니다. 방형대좌(方形臺座)라는 이름그대로 사각형의 높고 널찍한 받침대 위에 앉은 사유상은 너무나도 호리호리해, 흔히 보는 원만구족(圓滿具足)한 불상의 모습과는 거리가 멉니다.

얼굴 표정 역시 냉정해 보입니다. 이 사유상에서 화가 모딜리아니(1884∼1920·이탈리아)를 떠올린 사람은 미술사학자인 강우방 이화여대 교수입니다. 실제로 이 사유상은 모딜리아니의 인물화처럼 얼굴과 가슴·허리·팔이 비현실적으로 가늘고 길게, 극단적으로 변형되고 추상화되어 있습니다.

해체를 통한 재구성이라는 고도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있는 사례라는 것입니다. 낯설었던 사유상이 볼수록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것도 ‘장인(匠人)정신’이 아니라, 조각가는 의식하지 못했을 수도 있는 투철한 ‘작가(作家)정신’의 산물이기 때문인가 봅니다.

방형대좌 반가사유상의 조각가는 과거의 양식적 특징을 극단적으로 적용하여 추상화시키면서 뛰어난 조화를 이루어냈습니다. 모딜리아니보다 무려 1300년이나 앞서 비슷한 원리의 현대적인 조형세계를 보여준 이 사유상이 있어 한국 미술은 조금 더 풍요롭습니다.

dcsuh@seoul.co.kr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