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으로 가는 길/우리풀.꽃♧나무

하늘말나리

by 지리산 마실 2009. 7. 18.

 

 

 

[2009/07/15. 지리산 만복대 지능선 숙성치 인근에서/두류]
 
꽃 이 름 : 하늘말나리
학      명 :  Lilium tsingtauense
분      류 : 백합과 여러해살이풀
개  화  기: 7~8월
꽃이 하늘을 바라보고 피우며 잎이 돌려나서 하늘말나리.
산과 들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비교적 쉽게 만날 수 있는 꽃입니다.
지리산에는 꽃에 주근깨가 없는 지리산하늘말나리가 있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나리꽃은
꽃이 바라보는 방향이
잎이 어긋나고 하늘을 바라보면 하늘나리,
잎이 어긋나고 옆을 바라보면 중나리,
잎이 어긋나고 땅을바라보면 땅나리,
잎이 어긋나고 줄기에 지느러미처럼 날개가 달려 있으면 날개하늘나리,
잎이 어긋나고 잎 겨드랑이에 염소똥처럼 주아(육아)가 달리면 참나리,
잎이 치마처럼 돌려나고 옆을 바라보고 꽃을 피우면 무조건 말나리,
잎이 치마처럼 돌려나고 옆을 바라보고 노란색으로 꽃을 피우면 섬말나리,
잎이 치마처럼 돌려나고 하늘을 바라보며 꽃을 피우면 하늘말나리,
잎이 치마처럼 돌려나고 하늘을 바라보며 노란색으로 꽃을 피우면 누른하늘말나리
[아치아빠의 야생화에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국의 나리類는 백합科의 식물이다. 나리科 라는 것은 없단다.
관속식물門 
피자식물綱
단자엽식물亞綱
백합目
백합科에 속한다는 것이다.
 
백합目에는 백합科 외에도
골풀과, 지모과, 수선화과, 용설란과, 마과, 붓꽃과 등이 속한다고 한다.
골풀과 대신 부레옥잠화과로 하는 사람도 있다.
백합目에는
근경 괴경 인경이 있고 간혹 수생식물도 있다.
잎은 근생엽과 경생엽이 있으며
꽃은 양성 혹은 단성이며
화피는 6개가 두 줄로 배열하고 꽃잎처럼 된다.
수술은 6개 또는 3개이거나 1개이고
자방은 상위 또는 하위라고 한다.
열매는 삭과가 많고 장과도 있으며 배유가 있다고 한다.
 
백합科에 속하는 식물은 다음과 같다.
돌창포 종류,
처녀치마, 박새, 여로, 비비추, 옥잠화, 원추리, 중의무릇을 비롯하여
마늘, 부추, 양파, 파, 달래 같은 양념류를 비롯하여
백합 종류, 튜립, 히야신스, 나도옥잠화 등의 화초 종류와
얼레지, 개감채 종류, 무릇, 비짜루類, 죽대, 둥굴레類, 죽대아재비, 솜대, 두루미類,
윤판나물, 애기나리類, 삿갓나물, 꼬리풀類, 밀나물類 , 뻐꾹나리등의 야생화 종류와
패모, 천문동, 은방울꽃, 연령초, 맥문동, 청미래덩굴 등의 약용식물 등이 이에 속한다.
백합科는
근경 인경 또는 괴경이 있는 다년초로서 잎에 망상맥이 있는 것도 있다.
꽃은 양성 간혹 단성이며 2가화이다.
화피는 대체적으로 꽃잎 같이 생겼으며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자방은 上位이고 3室이다.
열매는 삭과 또는 장과이다.
250속 4000종으로 전세계에 분포하지만 주로 열대와 아열대에 많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29속 123 종이 있으며 9亞科로 다시 나눈다고 한다.
 
백합과의 기본 屬인 백합屬의 식물은
주로 북반구 온대에서 약 90종이 자라고 있으며
특히 동아시아에 많은 種이 분포하고 있단다.
이창복박사의 대한식물도감에는 나리 종류가
말나리, 섬말나리, 하늘말나리, 하늘나리, 날개하늘나리,
솔나리, 큰솔나리, 땅나리, 털중나리, 중나리, 참나리 등
11種이 등재되어 있다.
보통 10종에서 15종 정도로 보고 있다고 한다.
 
일본에는 일본특산의 山百合과 笹百合 등 관상가치가 높은 7종을 비롯하여
15종이 자생하여 세계적인 유전자원이 된다고  한다.
 
나리 종류에는 잎의 위치에 따라
호생엽의 나리 종류와 윤생엽의 말나리 종류로 구분하기도 하고
꽃이 달리는 방향 아래쪽 윗쪽에 따라
땅나리, 하늘나리 등으로 나리의 이름을 지어 분류 하기도 한다.
 
나리의 꽃색은 대개 주홍색의 계통이지만
분홍색의 솔나리와 황색의 섬말나리도 있다.
우리나라의 솔나리만이 분홍색인 줄 알았는데
우리의 솔나리 보다는 잎이 좀 넓은 일본의 笹百合도 분홍색이다.
 
우리나라의 야생나리는 대개 어디에 분포하고 있을까?
들이나 야산 보다는
깊은 산이나 산 속 풀밭에 주로 자생하는 것 같다.
날개하늘나리는 백두산 등에서 자생하며
솔나리도 보다 깊은 산에서 자생하고
섬말나리는 을릉도의 특산식물이란다.
 
나리 종류는 여름꽃이다.
우리 집에는 지금 섬말나리가 피어 지고 있고
날개하늘나리가 막 피어 나고
털중나리는 꽃봉오리가 붉어지기 시작했다.
참나리는 아직 꽃봉오리도 안 보이고 검은 주아만이 엽액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솔나리는 이제 조그만 푸른 색의 꽃봉오리가 올라와 자라고 있는 중이다.
[2005/06/08 '이명호의 야생화' 'pulnamu님의 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