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비뚜로 보는 문화재<41>길상사 관세음보살상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1) 서울 길상사 관세음보살상

천주교 신자가 만든 ‘창작불상’의 파격미

양식(樣式)이란 ‘시대나 부류에 따라 각기 독특하게 지니는 형식’이라고 국어사전은 정의합니다. 실제로 불교가 전래된 이후 우리 불교미술은 시대별로 뚜렷한 특징을 보여왔지요.

▲ 서울 성북동 길상사 관세음보살상. 법정 스님의 발원에 따라 조각가 최종태가 2000년 화강암으로 조성해 봉안했다. 높이 180㎝.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하지만 최근의 불교조각은 과거 작품에서 좋아 보이는 요소를 덜어내 조합시키곤 하는 양상을 보입니다. 지금 이 시대의 특징을 보여주는 양식이 존재한다고 말하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훗날의 미술사학자들은 정확한 시기와 제작지를 알기 어려운 고대 불상이 아니라,20∼21세기에 만들어진 불상 때문에 혼선을 빚을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 나아가 이 시대의 불교조각은 아예 미술사의 연구대상에서 제외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마저 듭니다.

양식이 사라진 시대에 조각가 최종태(1932∼)의 관세음보살상은 ‘창작 불상’이라는 새로운 경지를 보여 주었습니다. 법정 스님의 권유로 조성된 이 관음상은 2000년 4월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 봉안되었습니다.

길상사 관음상이 더욱 화제가 되었던 것은 불모(佛母)를 맡은 이가 가톨릭미술가협회장을 맡을 만큼의 독실한 천주교 신자이기 때문이지요. 그는 호기심을 갖는 이들에게 “땅에는 나라도, 종교도 따로따로 있지만 하늘로 가면 경계가 없다.”고 했습니다.

최종태는 소녀상과 소녀다운 성모 마리아상으로 이름을 날린 조각가입니다. 길상사 관음상의 이미지가 성모상의 연결선상에 있는 것도 심성의 참된 가치를 발견하는 불교의 견성(見性)이나, 기독교에서 말하는 하느님의 나라가 모두 같은 울타리 안에 있기 때문이라고 그는 설명하지요.

이 관음상은 한국 불교 미술을 대표하는 걸작의 하나인 국보 제83호 삼산관반가사유상과 이미지가 비슷합니다. 사유상이 미소를 머금고 있는 반면 관음상의 표정에서는 슬픔이 스쳐가고 있음에도 그렇습니다. 관음상은 여러 개의 봉우리가 솟은 관을 쓰고 있는데, 반가상의 삼산관(三山冠)을 떠올리게 하여 더욱 닮았다는 느낌이 들었을 것입니다. 최종태는 실제로 창작에 한계를 느꼈던 젊은 날, 삼산관사유상을 비롯한 삼국시대 불상들이 막혔던 길을 뚫어주는 역할을 했다고 회고하고 있지요.

길상사 관음보살은 삼국시대 말기 이후에 많이 만들어진 관음상처럼 왼손에는 맑은 물이 담긴 정병(淨甁)을 들었습니다. 하지만 목이 길다란 전형적인 관음보살의 정병이 아니라 조선시대 초기의 분청사기 편병처럼 납작한 모양이지요. 그것도 들고 있다기보다는 가슴에 품듯 감싸안고 있습니다.

오른손은 아무 걱정 하지 말라는 뜻으로 손바닥을 펴든 시무외(施無畏)인을 하고 있는데, 아마도 이 관음상에서 가장 불교적인 분위기를 풍기는 부분일 것입니다. 하지만 부드럽게 흘러내린 겉옷은 관음보살의 대의라기보다는 수녀복에 가깝고, 대좌 또한 연화좌가 아니라 성모상에 흔히 쓰는 장식 없는 사각형이지요. 이미지는 삼국시대 불상과 닮았지만,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제로 닮은 데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최종태는 앞으로 불상을 더 만들 일은 없을 것 같다고 말합니다. 이렇듯 파격적인 불상이 예배 대상으로 받아들여지기가 쉽지 않기 때문일 것입니다. 미술 쪽에서도 이 관음상을 불교미술사의 영역이 아닌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평가할 가능성이 크겠지요. 그렇다 하더라도 전통을 잃어버린 시대에 길상사 관음상은 우리 불교미술의 돌파구가 어디인지 한번쯤 생각할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은 분명합니다.

dcsuh@seoul.co.kr

기사일자 : 2007-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