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문화재 이야기<16>군위 인각사 일연의 부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16) 군위 인각사 일연의 부도

경북 군위에 있는 인각사(麟角寺)는 일연(一然·1206∼1289)이 ‘삼국유사’를 완성한 절입니다. 보각국사 일연은 78세에 이곳에 와서 주지로 있다가 84세에 입적했습니다.

▲ 일연의 부도인 인각사 보각국사정조지탑. 서민적인 소박함을 좋아하던 일연의 삶이 부도양식이 퇴화하는 시기와 맞물리면서 수수한 모습을 보인다. 높이 2.42m.
문화재청 제공
인각사에는 일연의 무덤이라고 할 수 있는 보각국사정조지탑(普覺國師靜照之塔)과 생애를 기록한 보각국사비가 남아 있습니다. 비문에는 저서가 100권에 이른다고 적어 놓았지만,‘삼국유사’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국존(國尊)으로 추앙받았지만,‘삼국유사’를 지었기 때문은 아니라는 뜻이지요.

일연의 부도와 비가 겪은 수난의 역사를 보면 ‘너무’ 좋은 것이 어째서 좋지 않은지를 실감할 수 있습니다. 부도는 일연이 세상을 떠난 석달 뒤 인각사에서 동남쪽으로 2㎞쯤 떨어진 능선자락에 세워졌습니다. 일연이 봐두었던 대단한 명당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조선 후기 불교에 대한 유림의 탄압이 극심하던 시절 한 양반집안이 명당을 찾은 끝에 일연의 부도를 무너뜨리고 무덤을 들였습니다. 도진(道晉·1850∼1902)스님 등이 나서 제자리에 세워놓았더니, 이번에는 또 다른 양반이 명당값을 쳐서 산을 비싸게 사들인 뒤 일연의 부도를 60m 떨어진 곳에 옮겨놓고는 역시 조상의 산소를 만들었다고 합니다.

부도는 한일합병 이후 몇년이 지나지 않아 사리장치를 탐낸 못된 사람들이 다시 무너뜨렸고, 이후 반세기 가까운 동안 방치되고 말았지요.

1958년 3월 현장을 찾은 미술사학자 이홍직은 “나는 이 부도를 냉정한 미술품만으로는 볼 수 없는 심정으로 다시 한번 보살피며 사리가 놓였던 구멍을 응시하였다.…되돌아오는 차중에서 나는 침통한 감상에 묵묵하였다.”고 참담한 심경을 토로했습니다.

부도는 1962년 인각사 정문 앞으로 옮겨 세워졌습니다. 하지만 사리공이 비어있는 것도 모르는 무지한 도굴꾼이 한차례 더 손을 댔다고 합니다.

1978년에는 명부전 앞으로 이전됐는데, 최근 인각사가 유명세를 떨치면서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가 벌어지는 바람에 임시장소로 옮겨졌습니다. 안식을 얻으려면 아직도 시간이 필요하지요.

보각국사비는 1295년 8월에 완성됐습니다. 유명한 문인 민지(閔漬)가 왕명으로 지은 비문은 지금 흔적만 드문드문 남았을 뿐 차라리 바위조각이라고 해야 좋은 몰골입니다.

중국의 서성(書聖) 왕희지(307∼365) 글씨를 집자한 까닭에 무절제한 탁본이 계속되면서 크게 닳았습니다. 비석을 갈아마시면 일연의 신통력으로 과거에 급제한다는 소문이 나돌았고, 벼룻돌로 쓴 작자도 있어 벌써 1760년 이전에 열몇쪽으로 깨졌다고 합니다. 좋은 글씨와 비석으로 추모하려 했던 것이 오히려 화근이 되었습니다.

한국의 고대문화가 풍요롭다면 일연의 덕분입니다.‘삼국유사’에 담긴 옛사람의 신비로운 행적에도 고대사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숨겨져 있지요.

그런 일연의 부도와 비가 이 땅에서 갖가지 이유로 횡행한 반달리즘(문화파괴)의 양상을 보여주는 대표적 상징물이 되고 말았습니다.

그의 부도가 땅위에 나뒹굴면서 참된 마음으로 사물을 대하고, 높은 자리에서도 낮게 처신한 선사의 높은 뜻마저 나뒹구는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dcsuh@seoul.co.kr

기사일자 : 2007-04-26    26 면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