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태안 '마애삼존불'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18) 태안 마애삼존불

충남 태안에 있는 백제시대 마애삼존불은 중앙의 아담한 관음보살을 이례적으로 우람한 약사여래와 아미타여래가 좌우에서 협시하는 모습입니다.

보살은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기 전에는 부처가 되지 않겠다고 서원하고 실천하는 존재이지요. 이미 진리를 깨달아 절대적인 존재가 된 부처보다는 당연히 위계가 낮습니다.

그러니 삼존불은 보통 가운데 여래가 크고, 양옆의 보살은 작습니다. 그럼에도 백제 사람들이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삼존불을 만든 것은 관음도량(觀音道場)으로 상징성을 살리기 위한 파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태안반도는 당진(唐津)이라는 땅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백제시대 중국을 오가는 교통의 요충지였습니다. 당시에 뱃길로 큰 바다를 건넌다는 것은 목숨을 내놓아야 하는 일이었겠지요.

중생에게 두려움 없는 마음을 베풀고, 고통에 빠지면 구원의 손을 내미는 관음보살이라는 존재가 뱃사공들에게는 커다란 용기를 주고 위안이 되었을 것입니다.

마애삼존불이 있는 백화산(白華山)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태안반도의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습니다.284m의 그리 높지 않은 산이지만, 서해바다가 한눈에 들어옵니다.

관음보살은 작고 흰꽃이 피는 바닷가 봉우리에 살고있다고 경전은 기록하고 있으니 관음도량으로는 최적지이지요. 흰꽃이 피는 산이라는 백화산(白華山=白花山)이란 이름도 그래서 지어졌겠지요.

나아가 김주성 전주교대 교수는 관음도량으로서 백화산과 마애삼존불이 전북 부안 죽막동 유적이 갖고 있던 백제의 국가적 제사터로 기능을 이어받았을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변산반도 끝자락의 높은 벼랑 위에 자리잡은 죽막동에서는 1991년 대규모 해양 제사유적이 발견되었지요. 이곳에선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항해의 안전을 비는 제사가 이뤄졌지만, 불교가 보편화되면서 결국 부처와 보살이 토속신의 역할을 대체했다는 것입니다.

태안 마애삼존불은 큰 바다를 오가는 뱃사람들이 안전을 기원하고자 만들었을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습니다. 김 교수는 특히 중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풍랑으로 죽음의 고비를 맞았던 백제 귀족층이 살아돌아온 데 대한 고마움을 담아 조성했을 것으로 추측합니다. 태안 삼존불은 백제시대 대중국 교섭의 양상과 불교가 백제 사회를 파고 들어 토속신앙을 대체해 나가는 과정의 일단을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더불어 백제가 불교라는 외래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어떻게 독자적인 신앙 형태를 정립하고, 불교미술에도 적극적으로 반영했는지를 보여줍니다.

백제의 문화수준이 얼마나 높았는지를 확인시켜주는 증거가 아닐 수 없습니다.

dcsu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