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경기 여주 신륵사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6) 경기도 여주 신륵사

위태한 물가에 절터 잡은 까닭… 장마철 급류 누르기 위함이네

경기도 여주에 있는 신륵사(神勒寺)는 드물게 강가에 세워진 절입니다.

일대 남한강의 풍경은 조선 세종시대의 문장가 김수온이 “여주는 낙토(樂土)인데 신륵사는 이 형승(形勝)의 복판”이라고 했을 만큼 환상적이지요.

하지만 지난해 7월 강원도 인제와 평창에 집중호우가 쏟아졌을 때 여강(驪江)이라고도 불리는 하류지역의 신륵사 주변은 범람위기를 맞았습니다. 백지화됐던 영월 동강댐 건설 계획이 다시 등장했을 만큼 위협은 심각했지요.

신륵사는 폭우가 내리면 언제든 물살에 휩쓸릴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위태로운 곳에 절을 지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지리학자인 최창조 전 서울대 교수는 “신륵사는 한국 자생 풍수의 본질에 충실한 비보(裨補) 사찰”이라고 설명합니다. 비보란 글자 그대로 모자라는 것은 채우고, 병든 땅은 고쳐서 쓴다는 뜻입니다.

한국의 전통 풍수는 땅을 어머니처럼 여기며 모든 사람이 더불어 편안하게 살아가는 삶터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라지요. 논리적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는 위험천만한 곳에 자리잡고는 사랑으로 어루만져서 좋은 땅으로 가꾸어가는 것이 바로 비보라는 설명입니다.

이렇게 신륵사에는 남한강변에서 살아가는 중생들이 잦은 홍수의 피해를 입지 않도록 보살펴 달라는 발원(發願)이 담겨 있습니다. 혹간 자비로 중생을 보듬어 주는 부처님의 가피력(加被力)이 미치지 못했을 때라도, 신륵사는 ‘여강의 홍수경보기’ 역할을 톡톡히 하지 않았을까요. 마을보다 먼저 급류가 차오르는 신륵사의 스님들은 비만 내리면 잠 못이루는 밤을 보냈을 것입니다.

신륵사에 높은 뜻이 담겨 있음은 절을 둘러싼 갖가지 전설에서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절 건너 마암(馬岩)에서 날뛰는 황룡마와 여룡마를 고려시대에 인당대사가 굴레를 씌워 다스려 신륵사로 이름지었다는 전설은 유명합니다.

날뛰는 누런말(黃龍馬)과 검은말(驪龍馬)이 장마철 급류를 상징한다면, 이것을 잠재울 신령스런 굴레(神勒)는 절을 지은 사람들의 염원이겠지요. 고려시대의 땅이름인 황려(黃驪), 조선시대 이후 여흥(驪興)과 여주(驪州)도 이 전설에서 비롯됐을 것입니다.

재미있는 얘기가 하나 더 있습니다. 고구려 때는 여주를 골내근(骨乃斤)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골내근을 굴레끈의 한문 음역으로 해석한 사람은 최완수 간송미술관 학예실장입니다. 굴레끈이란 다름아닌 륵(勒)이니, 신륵이라는 이름은 고구려 때부터 있었을 뿐 아니라 인당대사도 고려가 아닌 고구려 스님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비보라는 개념으로 대표되는 한국 자생 풍수는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에 살았던 도선국사에서부터 본격화된 것으로 지리학계는 설명합니다.

그러나 삼국시대까지 올라갈 수 있는 신륵사에서도 자생 풍수는 이렇게 뚜렷한 흔적을 남기고 있습니다.

땅과, 그 땅에 살아가는 사람에 애정을 가진 우리 자생 풍수의 실체를 확인하는 것은 신륵사에서 찾을 수 있는 또 하나의 즐거움입니다.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기사일자 : 2007-02-15    25 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