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비뚜로 보는 문화재<60>연담 김명국의 은사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60) 연담 김명국의 ‘은사도(隱士圖)’

화폭에 담은 화가 자신의 유언

조선 중기의 화가 연담 김명국(1600∼?)에게는 술에 얽힌 일화가 많이 남아 있습니다.‘청구영언’의 서문을 쓰기도 한 정내교(1681∼1757)의 ‘화사(畵師) 김명국전’에도 그런 이야기가 전하지요. 어느날 한 스님이 연담을 찾아와 명사도(冥司圖)를 부탁했다고 합니다. 명사도란 명부전에 걸리는 불화로 저승에서 염라대왕에게 심판받는 일종의 지옥그림이지요. 스님은 고운 삼베 수십 필을 사례금조로 건네주었는데, 연담은 아내에게 건네고는 몇 달 동안 마실 술로 바꾸어 오도록 했습니다.

어느날 통음을 한 연담은 술기운이 오르자 한 붓에 휘둘러냈습니다. 그림은 생동감이 넘쳤지만 불에 타거나 칼로 베이고, 절구에 짓이겨지는 자가 모두 중이었다지요. 스님이 깜짝 놀라자 연담은 “일생동안 지은 악업이 혹세무민이니 지옥에 갈 자가 너희들이 아니고 누구겠느냐.”고 일갈했습니다. 그리곤 “술을 더 사오면 그림을 고쳐주겠다.”고 했지요. 취기가 오르자 다시 붓을 잡더니 잠깐 사이에 머리와 턱에는 숱을 그려넣고, 승복에도 빛깔을 넣어 스님을 탄복하게 했습니다.

평소 호방함 대신 경건한 분위기 풍겨

이런 연담이지만 규장각이 소장한 각종 의궤에는 그의 이름이 明國(명국)뿐만 아니라 鳴國(명국)과 命國(명국)으로도 남았습니다. 국가기관인 도화서에 소속되어 있다고는 해도 신분이 낮은 화원(畵員)의 이름쯤은 밝을 명이든, 울 명이든, 목숨 명이든 상관없었던 사회 분위기를 보여주지요.

명사도에 얽힌 일화는 천대받던 환쟁이로서 왜곡된 현실에 대한 연담의 조소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연담의 불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반영합니다. 명부전의 후불탱을 새로 모시는 불사(佛事)를, 제아무리 도화서 화원이라고는 해도 불교의 교리와 도상을 모르는 사람에게 주문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연담은 훗날 신필(神筆)로 떠받들어졌지만 도화서 화원 시절 그의 진면목은 오히려 일본사람들이 알아봤지요. 그는 1636년과 1643년 조선통신사의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건너갔습니다. 수행화원이란 통신사의 활동을 그림으로 기록하는 역할을 하는 직책이지만, 행세깨나 하는 사람들의 요청을 받아 그림을 그려주는 것이 관행이었습니다. 당시 일본에는 선승화(禪僧畵)가 유행하고 있었는데, 힘차게 내닫는 몇 가닥의 붓질로 깊은 정신세계를 형상화해내는 연담의 달마도는 열렬한 환영을 받았지요. 묵필을 잡은 사람에게는 사람의 본성을 곧바로 가리킨다는 선종의 종지인 직지인심(直指人心)의 경지를, 감상하는 사람에게는 마음 비우는 법을 가르쳐준다는 달마도의 의미를 제대로 구현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연담의 달마도 일본인들이 먼저 알아줘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한 연담의 ‘달마도’는 우리나라 달마도의 모델이 되었습니다. 오늘날 김명국의 이름은 몰라도 이 달마도는 누구나 기억해낼 수 있을 만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지요. 중앙박물관은 ‘달마절로도강도(達摩折蘆渡江圖)’라는 연담이 그린 또 하나의 달마그림을 갖고 있습니다. 달마가 양무제에게 남의 칭송을 바라는 공덕은 이미 공덕이 아니라는 깨우침을 준 대가로 죽임을 당한 뒤 환생하여 서쪽으로 가다가 갈대를 꺾어 들고(折蘆) 강을 건넜다(渡江)는 불교설화를 알지 못하면 손댈 수 없는 주제입니다. 통신사 수행화원 시절 그렸을 두 점의 달마그림은 중앙박물관이 일본에서 사들여 우리 손에 들어왔습니다.

만년의 작품인 ‘은사도(隱士圖)’에서는 술에 취하지 않으면 재주가 다 나오지 않았고, 또 술에 취하면 취해서 제대로 그릴 수가 없었다는 연담의 호방한 기운은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오히려 달마도에서는 찾을 수 없는 철학적 경지마저 느껴지지요.

이 그림의 주인공이 제목처럼 속세를 떠난 선비(隱士)가 아니라 죽음을 향하여 무거운 걸음을 내딛는 화가 자신의 모습이라고 설명한 사람은 이광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입니다.‘내가 그림으로 그릴망정 유언으로 전하겠는가.’라는 발문의 한 대목을 제대로 해석함으로써 이 그림의 성격을 밝혀낼 수 있었다고 합니다. 앞으로 이 그림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전되면, 김명국의 대표작은 ‘달마도’가 아니라 언젠가는 이름이 다시 붙여져야 할 ‘은사도’가 될 수도 있을 것 입니다.

dcsuh@seoul.co.kr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