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비뚜로 보는 문화재<48>원각사 탑에 새긴 서유기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48) 원각사탑에 새긴 ‘서유기’

‘미물도 공덕 쌓으면 보살이’

‘정사(精舍) 안을 들여다보니 불상이 엄연한 자태로 결가부좌하여 오른발을 위에 얹었는데, 왼손은 샅에 두고 오른손은 늘어뜨린 채 동쪽을 향하여 앉아 있었다.…대좌의 높이는 4.2자, 대좌의 너비는 12.5자이며, 불상의 높이는 11.5자, 양 무릎의 너비는 8.8자, 양 어깨의 너비는 6.2자였다.’

▲ 국보 제2호 원각사터 십층석탑의 동쪽 기단에 새겨진 무차대회 장면.‘서유기’의 도입부로 오른쪽 전각의 옥좌에 당태종이 앉아 있고, 그 왼쪽에 삼장법사라는 이름이 내려진 현장의 모습이 보인다.
현장(玄·602∼664)은 인도를 여행하면서 부처가 깨달음을 이룬 인도 보드가야의 마하보리사를 찾았을 때 본 성도상(成道像)을 이렇게 묘사했습니다. 이 당나라 고승(高僧)이 쓴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에 나오는 대목이지요. 현장은 629년 당나라의 수도 장안을 출발하여 인도 각지에 남아 있는 부처의 흔적을 돌아본 뒤 경전과 불상, 불사리를 갖고 645년 중국으로 돌아갔습니다.

하지만 일본인 건축학도 요네다 미요지(米田美代治·1907∼1942)는 ‘대당서역기’에 보드가야 성도상의 치수가 담겨 있는지는 몰랐을 것입니다. 그는 조선총독부박물관 촉탁으로 근무하던 1940년 석굴암을 측량하면서 본존불을 재어본 결과 높이가 11.5자, 무릎너비가 8.8자, 어깨너비가 6.6자였다고 하지요.

석가모니가 정각(正覺)하는 순간을 묘사한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동쪽을 향해 앉은 석굴암 본존불이 보드가야 성도상을 모델로 삼았다는 사실은 이후 40년도 훨씬 넘어서야 알려지게 됩니다. 어깨의 너비가 차이 나는 것은 어깨선이 둥근 만큼 기준점을 서로 달리했기 때문이었겠지요.

‘대당서역기’의 영향은 석굴암 조성 이후 600년 남짓 지난 고려 충목왕 4년(1348)에 세워진 경천사터 십층석탑에서 다시 모습을 드러냅니다. 현장이 삼장법사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 ‘서유기(西遊記)’의 22개 중요 장면을 기단에 새겨 놓은 것입니다.

하지만 재질이 무른 대리석으로 만든 경천사탑은 세월이 흐르면서 비바람에 깎여 나가 이제 식별할 수 있는 장면은 10개 남짓뿐이지요. 다행스럽게 조선 세조 13년(1467) 경천사탑의 형식과 새겨진 조각을 그대로 옮겨 놓은 원각사터 십층석탑이 있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서유기’는 명나라의 문인 오승은(吳承恩·1500?∼1582)이 지은 것이지요. 경천사탑은 물론 원각사탑보다도 100년 이상이나 뒤에 씌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현장의 업적과 명성이 알려지면서 벌써부터 그의 여행담은 전설적인 모험담으로 각색되었다고 하지요. 현장이 경전을 구하는 과정을 그린 취경(取經)설화는 연극으로 공연되다가 원나라(1271∼1368) 때부터 책으로 출판되면서 ‘서유기’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이 원나라 때의 ‘서유기’가 경천사 및 원각사 탑에 새겨진 조각의 전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원각사탑의 ‘서유기’ 조각은 세 단으로 이루어진 기단의 윗단에 2장면, 가운데단에 20장면이 새겨졌습니다. 이야기는 당 태종이 천축으로 구법행을 떠나는 현장에게 잔치를 베풀어 주는 무차대회(無遮大會)로 시작되지요. 세 번째 장면에서 사오정이 등장합니다. 사람을 잡아먹는 괴물 사오정이 아홉개의 해골로 만든 목걸이를 풀고 불교에 귀의하는 장면이지요. 손오공이 파초선으로 화염산의 불을 끄고 가는 장면을 새긴 다섯 번째 조각에는 현장과 말을 끌고 가는 저팔계, 행장을 들고 있는 사오정 등 ‘서유기’의 주인공들이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탑에 ‘서유기’를 새긴 것은 예배하는 이들에게 교훈을 삼도록 하겠다는 뜻이겠지요. 우선은 온갖 고난을 헤치고 부처의 법신(法身)인 경전을 가져다 한문으로 옮겨 더 많은 사람을 불법의 세계로 이끈 현장의 공덕을 본받게 하고 싶었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손오공과 사오정, 저팔계 같은 미물조차 공덕을 쌓으면 보살이 될 수 있다는 ‘서유기’의 스토리가 어떤 고승의 설법보다도 사람들을 감화시키는 힘이 크다고 생각한 것은 아니었을까요.

서동철 문화전문기자 dcsuh@seoul.co.kr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