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문화재 이야기<2>불국사 관음전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2) 불국사 관음전

중생 시름 안쓰러운 듯 세상 뒤안길서도 발돋움

볼 것 많은 불국사에서 관음전을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대웅전을 돌아가 절의 후미진 곳에서 가파른 계단을 올라가면 나타나는 작은 전각이 관음전이라면 희미하게라도 기억이 나실지 모르겠네요.
 

▲ 불국사의 관음전으로 오르는 가파른 계단. 관음보살이 살고 있다는 포탈라카(Potalaka) 산을 상징한다.
경주 정연호기자 tpgod@seoul.co.kr
우리나라의 옛 절은 환경을 파괴하지 않으려 자연 지형을 최대한 살렸다고 하지요. 하지만 나이드신 어르신이라면 오르기가 망설여질 만큼 산처럼 치솟은 불국사의 관음전은 일부러 땅을 돋워 지은 흔적이 역력합니다. 하긴, 한국의 ‘4대 관음성지’는 모두 섬이나 바닷가의 산처런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네요. 양양 낙산사 홍련암, 강화 석모도 보문사, 남해 금산 보리암, 여수 향일암이 그렇습니다.

 

관음도량에 부여되는 상징성은 유명한 사찰보다는 뜻하지 않은 장소에서 더욱 무릎을 치게 만듭니다.

태안 마애삼존불은 특이하게도 가운데 작은 관음보살을 양쪽의 우람한 여래가 보살피고 있습니다. 중국같은 다른 나라에는 없는 백제의 독자적인 신앙형태를 보여주고 있다고 합니다. 태안 마애삼존불이 있는 백화산에 오르면 이곳이 백제의 관음도량이었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태안반도의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는 백화산은 해발 284m에 불과한 작은 봉우리입니다. 게다가 군 기지가 있는 정상에는 오르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마애삼존불이 있는 곳에서도 북쪽으로는 가로림만, 서쪽으로는 만리포 앞바다, 남쪽으로는 천수만이 한 눈에 들어옵니다.

 

미술사학자인 강우방 이화여대 교수가 밝힌 대로 백화산(白華山)이라는 이름부터가 ‘화엄경’에서 관음보살이 살고 있다고 묘사한 ‘작고 흰꽃이 만발한 바닷가 산’이라는 뜻이라는 사실을 알고 나면 이 곳이 관음도량이라는 사실은 더욱 명료해지지요.

 

안동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이라는 극락전이 아니더라도 매우 아름다운 절입니다. 봉정사와 같은 산 줄기에는 개목사라는 작은 절이 있습니다. 관음보살을 모신 원통전은 한때 보물로 지정되기도 했지만 안타깝게도 불타버려 몇년전 새로 지었다고 하네요. 개목사는 자동차를 타고도 산길을 한참이나 올라가야 합니다. 절에 닿으면 개목사(開目寺)란 이름 그대로 눈이 환히 열립니다. 나아가 시야 가득 펼쳐지는 연봉들은 그야말로 거대한 바다를 이룹니다. 개목사에 왜 관음보살을 모셔야 하는지 깨닫는 순간입니다.

 

불국사의 건축구조는 통일신라 불교신앙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상징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그 깊은 뜻을 헤아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관음전으로 오르는 계단에서 상징의 일부분이나마 확인할 수 있음은 다보탑이나 석가탑에서는 느낄 수 없는 즐거움입니다.

 

dcsuh@seoul.co.kr

 

 2007/01/18

[서울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