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歷史.文化 이야기

조선후기 한양의 中人들(17)조선의 일본어 譯官

[조선후기 신지식인 한양의 中人들] (17) 조선의 일본어 역관

조선시대의 외교정책은 사대교린(事大交隣)이었으니, 큰 나라 중국은 섬기고, 동등한 나라 일본과는 이웃으로 지낸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정기적으로 외교 사신을 보냈으며, 사신을 보낼 때에 가장 중요한 것이 그 나라 사람들과 말이 통할 수 있는 외국어 능력이었다. 따라서 삼국시대부터 일부 전문가들에게 외국어를 가르쳤는데, 수많은 학생들이 당나라에 유학 가서 과거시험에 급제해 벼슬까지 얻을 정도까지 중국어에 능통했다.

조선왕조도 처음부터 명나라와의 관계를 중요시하여 건국 이듬해인 1393년에 사역원(司譯院)을 설치했는데, 초기에는 중국어와 몽고어만 가르쳤다. 태종 15년(1416)에야 정식으로 왜학(倭學)이 설치되어 30여명이 배우기 시작했다. 배를 타고 가는 길이 험한 데다 중국어 역관처럼 벼슬 얻을 기회도 적었기 때문에 지원자가 적었다. 조선왕조의 관제가 갖춰지자 ‘경국대전’을 간행했는데, 사역원에 정9품 왜학 훈도가 2명 배속되어서 생도들을 가르쳤다고 기록되었다. 일본인들이 왕래하는 부산포와 제포에도 왜학 훈도가 1명씩 배치되었는데, 매달 쌀 10말과 콩 5말을 녹봉으로 받았다.

역관들의 대우는 박했지만, 북경에 한번 가면 큰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그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며 근무했다. 한학(漢學) 역관은 9명이 따라가고, 왜학 역관도 1명이 따라갔다. 북경에는 해마다 서너 차례씩 사신이 갔다. 일본에는 이삼십년에 한번씩 가기 때문에, 왜학 역관은 북경에라도 따라가야 돈을 벌 기회가 있었다.

역관을 뽑는 역과에는 한어과, 몽어과, 여진어과, 왜어과의 네 가지가 있다. 왜어과는 세종 23년(1441) 이전부터 실시되었다.3년마다 돌아오는 식년시(式年試)는 자(子)·묘(卯)·오(午)·유(酉)자가 들어가는 해에 실시했으며, 왕이 즉위하거나 왕실에 경사가 있으면 증광시(增廣試)를 실시했다.

왜어 역관의 교육과 선발

왜어과는 초시에서 4명을 뽑았다가 복시에서 2명을 합격시켰다. 문과처럼 성균관이나 춘당대에서 시험을 보지 않고, 사역원에서 보았다. 처음에는 문과 급제자처럼 홍패(紅牌)를 주다가, 나중에는 생원·진사시의 합격자처럼 백패(白牌)를 주었다.

역과에 응시하려면 우선 사역원에 입학했으며 전현직 고위 역관들이 추천해야 입학할 수 있었다. 그래서 역관을 많이 배출한 집안 출신들이 입학하기에도 유리했다. 사역원 왜학의 생도 수는 ‘경국대전’(1485)에 15명이었다가,‘속대전’(1746)에 오면 40명으로 늘어났다.‘경국대전’ 시기에는 1차시험인 초시에서 글씨쓰기(寫字)와 함께 ‘이로파(伊路波)’‘소식(消息)’‘노걸대(老乞大)’‘통신(通信)’‘부사(富士)’ 등 14종의 일본어 교재를 시험 보고,2차에서도 마찬가지였다.‘속대전’시기부터는 ‘첩해신어(捷解新語)’ 한 권만 시험 보았다.

잡과 이외에 기술관 취재(取才) 시험도 있었는데, 사맹삭(四孟朔 1·4·7·10월의 1일) 취재가 원칙이었다. 전공서와 경서, 경국대전을 시험하여 1등과 2등에게 체아직(遞兒職)을 주었다. 체아직은 합격자가 많다 보니 모두 현직에 임명할 수가 없어, 한 관직에 여러 명이 돌아가며 근무하고, 근무하는 동안만 녹봉을 주는 제도이다. 사역원 녹관이 29자리였는데, 교수와 훈도 10자리를 제외하면 체아직은 15자리였다. 그러니 수직대상자인 역학생도 80명, 별재학관 13명, 전직역관 약간명, 역과 출신 권지 19명을 합쳐 10대1의 경쟁을 해야 했다.

실용 일본어 교재 ‘첩해신어’

‘첩해신어’는 이름 그대로, 새로운 외국어를 빨리 이해할 수 있는 회화책이다.‘경국대전’ 시기에 시험했던 교과서 10여 종은 모두 일본어로 되어 있었다.‘속대전’ 시기부터 시험 보았던 ‘첩해신어(捷解新語)’는 언해본이다. 저자 강우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에 포로로 끌려가 10년간 지내며 일본어에 능숙했다. 귀국한 뒤에 역관 교육을 위해 이 책을 만들었다. 이 책은 통신사 일행이 부산을 떠날 때부터, 도쿄에서 공식 행사를 마치고 다시 쓰시마에 도착할 때까지 필요한 대화들이 모두 실려 있다. 이태영 교수의 역주본에서 두 가지 상황을 인용한다.

첫 번째 상황은 부산포에서 일본 선장을 만났을 때에 주고받는 인사말이다. 객은 쓰시마에서 부산포로 온 일본 선장이고, 주(主)는 그를 맞는 조선 문정관(問情官)이다. 늘상 일어나는 일이므로, 역관은 이 책을 외우며 이 대화를 미리 연습해 두었다가, 일이 닥치면 그대로 활용하였다.

(객)나는 도선주, 이 분은 이선주, 저 분은 봉진이도다.

(주)정관은 어디 계신가?

(객)정관은 배멀미하여 인사불성되어 아래에 누워 있습니다.

(주)편지(문서)를 내셨거든 봅시다.

(객)그렇게 하려고 하지만 깊이 들어있고 특별한 일도 없으니 내일 보시오.

(주)그것은 그러하겠지만 편지(문서)를 내가 직접 보고 그대들의 성명을 알아 부산포에 아뢰어 장계할 것이니 편지를 내시오.

(객)우리 이름은 아무개이도다.

(주)그렇게 해서는 안될 것이오. 편지에 한 자라도 어긋나면 어떤 사람에게 시켜도 좋지 아니하니 부디 내시오.

(객)그렇게 합시다. 밤이 되었으니 우선 술이나 한잔하시오.

(주)술은 잘 못 먹으니 주지 마십시오.

(객)쓰시마에서는 그대는 술을 잘 먹는 사람이라 들었으니 사양하지 마십시오.

도쿄에서 국서를 바치고 돌아오는 길에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으므로, 쓰시마에서도 잔치를 베풀며 풍류를 즐겼다. 주(主)는 조선통신사이고, 객은 쓰시마주인데, 역관들은 송별잔치에 조선 악공들을 초청하는 대화도 미리 연습해야 했다.

(객)출선일은 십오일이 길일이오니, 모레 하직 잔치를 하니 미리 통지를 아룁니다. 그것으로 하여 늙은 어머니와 더불어 조선 풍류를 벽틈으로 듣고자 바라니, 풍류하는 사람을 남기지 말고 함께하시기 바랍니다.

(주)아! 출선일을 정하시니 기쁩니다. 잔치할 바는 되도록 사양하고자 여겼더니마는 그대로 매우 수고하시니 축원 아니하지는 못할 것으로 전부터 이르시므로 이러나 저러나 마땅할 대로 합시다. 또 풍류하는 사람은 어찌 항상 불러들이지 아니하시는가? 그날은 이르심에 미치지 아니하여(말씀하시지 않아도) 다 함께 가겠습니다.

(객)오늘은 마침 날씨가 좋아 진실로 먼 길에 나랏일을 마치고 삼사를 청하여 하직하는 양 기쁨이 남은 데 없으되, 그렇지만 오늘에 다다라서는 섭섭하기 아뢸 양도 없으니 편안히 노시어 축원하십시오. 저 귀한 풍류들도 어머니가 듣고 매우 귀하게 여겨 기쁘구나 하니, 이것으로써 두 나라 편안한 음덕인가 하여 감격히 여깁니다.

(주)아! 아! 극진한 잔치의 자리입니다. 진실로 이르시듯이 두 나라의 믿음으로 귀한 곳을 구경할 뿐 아니라 이런 접대에 만나 바다 위의 시름도 펴매 더욱 써 기쁘게 여겨 술들도 벌써 취하였으니 돌아가고자 합니다.

포로로 끌려간 도공의 후예들도 통역 맡아

일본에 도착한 역관들은 ‘첩해신어’ 뿐만 아니라 ‘왜어유해(倭語類解)’라는 어휘집도 가지고 다니면서, 필요할 때마다 적당한 단어를 찾아보았다.1763년에 통신사로 갔던 조엄의 ‘해사일기(海日記)’ 12월 16일 기록에 이 책이 만들어진 배경이 나타난다.

“두 나라 말이 서로 통하는 것은 오로지 역관에게 의지하는데, 수행하는 역관 열댓 명 가운데 저들의 말에 달통한 자는 매우 드무니 참으로 놀랍다. 이는 다름이 아니라 왜학 역관의 생활이 요즘 와서 더욱 쓸쓸하고, 근래에는 조정에서도 별로 권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수석 역관이 내게 이렇게 건의했다.

‘물명(物名)을 왜어(倭語)로 적은 책이 사역원에도 있지만, 그것을 차례차례 번역해 베끼기 때문에 오류가 많고, 또 저들의 방언이 혹 달라진 것도 있어 옛날 책을 다 믿을 수 없습니다. 요즘 왜인들을 만날 때에 그 오류를 바로잡아 완전한 책을 만들어 익히면 방언과 물명을 환히 알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저들과 수작하기에 장애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세 사신이 상의하고 바로잡게 허락해 주어, 현계근과 유도홍을 교정관으로 정하고 수석 역관으로 하여금 감독하게 하였는데, 완전한 책을 만들지 모르겠다.”

말은 몇십년마다 바뀌기 때문에,‘첩해신어’를 중간한 것처럼 ‘왜어유해’도 예전의 어휘집을 수정한 것이다. 일본에서 만들어진 어휘집 ‘화어유해(和語類解)’ 마지막 장에는 1837년 10월에 묘대천(苗代川)에서 임진왜란 때에 포로로 끌려갔던 도공(陶工)의 후예 박이원(朴伊圓)이 필사했다는 기록이 있다.‘왜어유해’에 없는 어휘들도 상당수 실려 있다. 사쓰마번(薩摩藩)에 끌려갔던 조선인들은 조선어를 잊지 않기 위해 공부했으며, 풍랑에 표류해 온 조선인들을 위해 통역하기도 했다. 이러한 일본어 교재들은 조선어와 일본어가 변해온 자취를 보여주기도 한다.

‘첩해신어’는 새로운 외국어를 빨리 이해할 수 있는 회화책이다. 저자 강우성은 임진왜란 때 일본에 포로로 끌려가 10년간 지내 일본어에 능숙했다. 귀국한 뒤에 역관 교육을 위해 이 책을 만들었다.

일본은 배를 타고 가는 길이 험한 데다 중국어 역관처럼 벼슬 얻을 기회도 적었기 때문에 지원자가 적었다. 또 이삼십년에 한번씩 가기 때문에 왜학 역관은 북경에라도 따라가야 돈을 벌 기회가 있었다.

허경진 연세대 국문과 교수

[서울신문 07/04/23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