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뚜로 보는 문화제<36>남한산성 수어장대

[서동철 전문기자의 비뚜로 보는 문화재] (36) 남한산성 수어장대

병자호란때 총지휘부… 치욕 잊지말자 ‘無忘樓’ 편액

병자호란(1636∼1637년)의 역사적 현장인 남한산성을 찾는 사람들은 성남쪽에서 남문으로 들어서든, 광주쪽에서 동문으로 들어서든 본격적으로 산성을 일주할 생각이 아니라면 일단 수어장대를 목적지로 삼기 마련입니다.

▲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 남한산성에 있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호 수어장대. 망루이자 지휘대로 쓰인 상층은 적의 공격에 대비해 좁고 낮게 지었다.
서울신문 포토라이브러리
장대(將臺)란 시야가 확보되는 곳에 설치한 장수의 지휘소이지요. 조선 인조(재위 1623∼1649)는 후금에 등을 돌리는 외교정책을 펴면서 전운이 짙어지자 남한산성을 새로 쌓다시피하면서 동서남북에 하나씩 4개의 장대를 세웠습니다. 서장대가 현재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데, 곧 수어장대(守禦將臺)입니다. 남한산성과 일대를 지키는 수어청의 우두머리인 수어사가 지휘하는 곳이어서 이렇게 불렀을 것입니다. 해발 453m의 일장산 꼭대기에 세워진 수어장대에 오르면 장쾌한 전망에, 왜 이곳을 총 지휘본부로 삼았는지 누가 설명하지 않아도 알 수 있습니다.

수어장대는 다른 장대와 마찬가지로 단층이었지만, 영조 27년(1751년) 중층의 누각형태로 지어집니다. 영조는 병자호란 당시 청나라에 항복한 치욕을 씻겠다며 북벌(北伐)을 추진한 효종이 묻힌 여주 영릉(寧陵)을 참배하고 돌아오는 길이면 수어장대에 올랐습니다. 수어장대 2층 누각의 내부에 병자호란의 치욕을 잊지 말자는 뜻으로 ‘무망루(無忘樓)’라는 편액을 내걸었던 것도 영조가 이곳에서 느꼈던 감회의 일단을 보여주는 대목이겠지요.

조선은 호란에 따른 이른바 정축화약(丁丑和約)에 성을 개축하거나 신축하지 못한다는 내용이 들어 있었지만, 인조 16년(1638년) 곧바로 남한산성을 다시 쌓았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인조 17년(1638년) 청의 사신 세 사람이 남한산성을 살펴보고는 크게 화를 냈다는 내용이 실려있습니다. 사신들은 “산성을 고치고 네 곳이나 곡식을 쌓아두었으며, 포루(砲樓)도 개설하였으니 어떤 간계를 가지고 있기에 감히 이런 짓을 하는가. 산성을 허물어버린 다음 우리가 국경을 넘어가기 전까지 보고하라.”며 얼굴을 붉혔습니다. 이후 조선은 청나라 사신이 삼전도비를 보고싶다고 할 때 마다 멀지 않은 남한산성까지 찾아갈까봐 갖가지 이유를 내세우며 적극적으로 따돌리게 되지요.

호란 직후 남한산성을 수리한 사실은 ‘남장대 옹성 무인비’가 자세히 알려주고 있는데, 비석을 발견한 과정이 재미있습니다.1996년 국립민속박물관장이던 조유전 토지박물관장과 전보삼 신구대 교수, 조병로 경기대 교수, 세상을 떠난 장철수 당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등은 ‘남한산성을 사랑하는 모임(남사모)’을 만들었습니다. 남사모는 4월28일 첫번째 답사에서 남한외성의 하나인 봉암성을 신축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봉암신성 병인 마애비’를 찾아냈습니다. 두번째 답사인 5월26일에는 남장대터 옹성(甕城)에서 새로운 비문을 발견했는데, 바로 인조 16년 1월26일부터 성을 새로 쌓기 시작하여 7월에 완성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남사모는 6월30일 세번째 답사에서도 수어장대에서 가까운 병풍바위에서 역시 ‘남성신수기(南城新修記)’를 찾았습니다. 정조 3년(1779년) ‘허물어져 한 곳도 온전한 데가 없어 성을 고쳐 쌓았다.’는 내용이었지요. 세 차례 답사에서 놀라운 성과를 거둔 남사모는 이후 일반인들도 참여하는 사단법인으로 확대되어 현재도 활발하게 남한산성 보호활동을 펴고 있습니다.

수어장대는 남한산성의 역사를 상징하는 건축물입니다.1896년에 재건된 현재의 수어장대는 조선시대 국방건축의 일단을 보여주는 당당한 모습이지요. 나아가 호란 이후 오늘날까지 불행했던 역사를 극복하겠다는 노력이 그대로 담겨 있다는 점에서 건축사적 평가를 뛰어넘는 가치가 있습니다.

dcsuh@seoul.co.kr

기사일자 : 2007-09-20   
 
[서울신문]